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종자[宗子] 왕자를 말한다.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에 “대군(大君)은 우리 부모의 종자이다.”라는 말이 있다.
❏ 종자[鍾子]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의 연주를 가장 잘 이해했던 종자기(鍾子期)를 말한다. <列子 湯問>
❏ 종자가남음[鍾子歌南音] 이 말은 좌전(左傳)에 “진후(晉侯)가 군부(軍府)를 시찰하다가 종의(鍾儀)를 보고서, 유사(有司)에게 묻기를 ‘남관을 쓰고서 얽매어 있는 자는 누구냐’라고 하니, 대답이 ‘정(鄭) 나라에서 바친 초(楚) 나라 죄수입니다.’라고 하였다.”고 한 데 보인다. 종의는 진(晉)에 있으면서 남음(南音)을 노래하였다.
❏ 종자기[鍾子期] 음률(音律)을 잘 아는 사람. 전하여 상대의 심정을 잘 이해하는 지기지우(知己之友). 종자기와 백아(伯牙)는 모두 춘추 시대 사람으로,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는 거문고 소리를 잘 들었는데, 백아가 일찍이 거문고를 타면서 높은 산에 뜻을 두자, 종자기가 듣고 말하기를 “좋다! 험준함[峩峩]이 마치 태산(泰山) 같구나.”라고 하였고, 백아가 흐르는 물에 뜻을 두고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는 또 말하기를 “좋다! 양양(洋洋)함이 마치 강하(江河)와 같구나.”라고 하여 백아의 생각을 종자기가 다 알아들었다. 그리하여 종자기가 죽은 뒤에는 백아가 자기 거문고 소리를 알아줄 이가 없다 하여 거문고 줄을 끊어버리고 다시 타지 않았다고 한다.
❏ 종장[宗匠] 경학에 밝고 글 잘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급제를 뜻한다.
❏ 종장[鍾張] 삼국 때 위나라 종유(鍾繇)와 한(漢) 나라 장지(張芝). 종(鍾)은 예서(隸書)의 명가(名家), 장(張)은 비백(飛白),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 초성(草聖)이라 일컬었다.
❏ 종장[宗丈] 집안 어른이라는 말이다.
❏ 종재번[種梓樊] 번중(樊重)은 후한(後漢) 때 사람으로 온후한 천성에 법도가 있었다. 기물(器物)을 만들기 위하여 가래나무와 옻나무를 심으니 사람들은 모두 비웃었으나 세월이 흐르자 그것을 이용하여 큰 부자가 되었다. <後漢書 樊重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대신[坐待晨]~좌도소[左徒騷]~좌도편[左徒篇]~좌두[莝豆]~좌리[座梨] (0) | 2020.09.25 |
---|---|
좌각[左角]~좌간[坐慳]~좌견우방[左牽右防]~좌관천리[坐觀千里]~좌구[左丘] (0) | 2020.09.25 |
종파도[宗派圖]~종편거처[從便居處]~종혜[椶鞵]~종회[鍾會]~종횡가[縱橫家] (0) | 2020.09.25 |
종주[宗周]~종죽의속[種竹醫俗]~종출[種秫]~종출흥[種秫興]~종치장후등[種致將侯等] (0) | 2020.09.25 |
종정[鐘鼎]~종정고문[鍾鼎古文]~종정불증귀두소[鐘鼎不曾歸斗筲]~종종상[種種相] (0) | 2020.09.25 |
종요[鍾繇]~종용유상[從容有常]~종유금채[鐘乳金釵]~종입수문[縱入脩門] (0) | 2020.09.25 |
종아채[從我蔡]~종얼[宗孽]~종영륵이[鍾英勒移]~종옥[種玉]~종왕[鍾王] (0) | 2020.09.25 |
종소문[宗少文]~종수탁타전[種樹槖駝傳]~종신국륜[宗臣國倫]~종씨시품[鍾氏詩品] (0) | 2020.09.25 |
종삼[從三]~종생계로[終生繫虜]~종서[粽黍]~종선여류[從善如流]~종성우풍[從星雨風] (0) | 2020.09.25 |
종사도청제[從事到靑齊]~종사복[螽斯福]~종산괴유령[鍾山愧有靈]~종산이문[鍾山移文]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