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종요[鍾繇] 삼국 시대 위() 나라 사람. 자는 원상(元常). 서예가이자 정치가. 벼슬이 태부(太傅)에 이르렀고 조비(曹丕)가 황제가 된 다음 정릉후(定陵侯)에 봉해졌다. 팔분체(八分體)에 능하였다. 호소(胡昭)와 함께 유덕승(劉德升)에게 글씨를 배웠다. 특이한 필체를 구사한 그는 특히 초서(草書)와 행서(行書)에 능하였으며, 예세(隸勢)라는 글을 지어 예서(隸書)를 쓰는 방법과 자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晉書 卷三十六 衛瓘列傳>

종용[從容] 유희. 노닐다. 즐기다. 조용한 모양, 말이나 또는 하는 것이 왁자지껄하지 않고 매우 얌전한 모양.

종용유상[從容有常] 외부의 어떠한 상황에도 안색과 행동을 바꾸지 않고 평소의 소신에 따라 정도를 걷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우방[鍾于房]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방성(房星)의 네 별을 천사(天駟)라고 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종유[鍾繇] 삼국 때 위나라 사람. 예서(隸書)의 명가(名家)이다.

종유금채[鐘乳金釵] 설원(說苑)우승유(牛僧孺)‘1천금을 주고 종유를 사서 복용하였더니 힘이 샘솟고, 또 노래 부르며 춤추는 기생이 많다.’고 자랑하므로 백거이(白居易)종유는 삼천 냥이요 금비녀가 열두 줄이라[鐘乳三千兩 金釵十二行]’고 한 시를 지어 보냈다.”고 하였는데, 금비녀가 열두 줄이란 처첩(妻妾)이 많다는 뜻이다.

종응래대하[種應來大夏] () 나라 장건(張鶱)이 서역(西域)에 사신으로 갔다가 대하국(大夏國)에서 처음으로 포도 씨앗을 가지고 돌아왔다 한다.

종입수문[縱入脩門] 부고(訃告)를 받고 황급히 조정으로 달려가는 것을 말한다. 종종(縱縱)은 총총(摠摠)과 같은 말로, 예기(禮記) 단궁 상(檀弓上)상사(喪事)에는 종종히 하고 길사(吉事)에는 절절(折折)히 한다.”고 하였다. 수문(脩門)은 도성 문 혹은 대궐 문을 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