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종랑[縱浪] 방랑(放浪)과 같다. 도잠(陶潛)의 신석시(神釋詩)縱浪大化中 不喜亦不懼라고 보인다.

종래분욕폐양지[從來忿欲蔽良知] 원래 위징(魏徵)은 태자 건성(建成)을 섬겨 태종을 제거하려 하다가 도리어 태종의 세력에게 패하여 건성은 살해되고 위징은 잡혔었는데, 태종이 그의 어짊을 알고 신하로 삼았다. 그러나 위징에 대한 구원(舊冤)이 남아 있다가 지혜가 가려져 만년에 위징을 의심하게 됐다는 뜻이다.

종려[種蠡] 춘추 시대 월()의 대부 문종(文種)과 범려(范蠡). 월 나라 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를 정복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자들이다.

종령초격문[鍾靈草檄文] 일단 은둔생활을 끝내고 산을 나간 사람은 그 산의 신령이 다시는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옛날 주언륜(周彦倫)이 북산(北山)에 숨어 있다가 천자의 부름을 받고 산을 나가 해염 현령(海鹽縣令)이 되었는데, 뒤에 그 산을 또 찾으려하자 공치규(孔稚珪)가 북산 신령의 뜻을 빌려 주언륜이 다시 들어오지 못하도록 각 역로에다 공문을 발송했다는 뜻의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쓰면서 그리 말하였다. <文選 孔稚珪 北山移文>

종뢰[宗雷] 남조 송(南朝宋) 때에 조정의 부름에 응하지 않고 각각 형산(衡山)과 여산(廬山)에 은거하였던 은사 종병(宗炳)과 뇌차종(雷次宗)을 합칭한 말이다.

종률[鍾律] 황종(黃鍾)의 율()을 말한다. () 나라 사람 예복(倪復)의 종률통고(鍾律通考)가 있다.

종리[鍾離] 지금의 안휘성 방부시(蚌埠市) 봉양현(鳳陽縣) 경내로서 회수(淮水)의 남안(南岸)에 있던 고을. 춘추 때 초나라 소속의 고을이다.

종리춘[鍾離春] 제 선왕(齊宣王)의 부인인 무염읍의 여자. 그는 둘도 없는 추녀(醜女)였다고 한다. <列女傳 鍾離春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