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유안계견[劉安鷄犬] 한(漢) 나라 때 회남왕(淮南王) 유안이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오를 적에 정중(庭中)에 남겨 놓은 선약을 닭과 개가 먹고서 그들도 모두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올라갔다 한다. <神仙傳>
❏ 유안난기전백서[有雁難期傳帛書] 백서(帛書)는 비단에 적은 글로, 옛날 기러기 발목에 백서를 전하여 소식을 알린 고사가 있다.
❏ 유안로요동[幼安老遼東] 유안은 위(魏) 나라 관녕(管寧)의 자이다. 한(漢) 나라 말기에 난리를 피해 요동에서 살며 학생을 모아 가르치다가 37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갔다.
❏ 유안모[幼安帽] 검소함을 뜻한다. 유안(幼安)은 삼국(三國) 시대 위(魏) 나라 관녕(管寧)의 자이다. 관녕이 소시에 화흠(華歆)과 한 자리에서 독서를 했는데 어느 날 고관의 행차가 그 앞을 지나갔다. 화흠이 곧 책을 덮고 구경을 나가자 그 행차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글만 읽던 관녕은 자리를 잘라 서로 나눠 앉으며 절교를 하였고, 또 그의 성품이 검소하여 항상 검정 모자에 베 속옷을 착용하고 다녔다. <三國志 管寧傳>
❏ 유안부[幼安浮] 유안은 삼국시대 위(魏) 나라 관녕(管寧)의 자. 관녕은 젊어서부터 지조가 높기로 이름이 있었는데, 마침 천하가 크게 어지러워지자 요동(遼東)으로 건너가 있었는데, 바다로 피난온 사람들이 모두 그를 찾아와 순월(旬月) 동안에 읍(邑)을 이루었으므로, 그는 마침내 그들에게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켰다. <三國志 卷十一>
❏ 유안비조모[幼安悲皁帽] 유안(幼安)은 관영(管寧)의 자(字)니 피난하여 은거한 것이 슬프다는 뜻이다.
❏ 유안서[庾安西] 동진(東晉) 영천(潁川) 언릉(鄢陵) 사람으로, 동진의 원제(元帝)・명제(明帝)・성제(成帝) 세 조정에서 벼슬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한 안서장군(安西將軍) 유량(庾亮)이다. <晉書 卷七十三 庾亮傳>
❏ 유안세[柳安世] 안세는 유시정(柳時定)의 자(字)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유[愈愈]~유유[油油]~유유[呦呦]~유유[愉愉]~유유[冘冘] (0) | 2020.08.17 |
---|---|
유우[幽友]~유운[柳惲]~유원둔[踰垣遯]~유월석[劉越石] (0) | 2020.08.17 |
유영[柳營]~유예[游藝]~유완[劉阮]~유왕[幽王] (0) | 2020.08.17 |
유언[有言]~유여[猶與]~유여[由余]~유연[幽燕] (0) | 2020.08.17 |
유애[有涯]~유애[幼艾]~유양낙고[酉陽諾皐]~유어전[遺魚筌] (0) | 2020.08.17 |
유악강재[維嶽降宰]~유악생신[維嶽生申]~유안[遺安]~유안[劉安] (0) | 2020.08.17 |
유아[唯阿]~유아[兪兒]~유아독존[唯我獨尊]~유악[帷幄] (0) | 2020.08.17 |
유신완조[劉晨阮肇]~유신유칙[有身有則]~유신유환[有身有患]~유심경[有心磬] (0) | 2020.08.17 |
유시[柳市]~유시[侑尸]~유식[游息]~유신[庾信]~유신경수[有莘耕叟] (0) | 2020.08.17 |
유수억종기[流水憶鍾期]~유수음[濡首飮]~유수행운[流水行雲]~유순[由旬] (0) | 202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