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淮上遇洛陽李主簿[회상우낙양이주부] 회상에서 낙양의 이주부를 만나다

 

- 韋應物[위응물] -

 

結茅臨古渡[결모임고도] 옛 나루 내려뵈게 띠집 엮었더니

臥見長淮流[와견장회류] 누워도 회수의 긴 흐름이 보이네

窗裏人將老[창리인장로] 창 안의 사람은 점점 늙어가고

門前樹已秋[문전수이추] 문 앞의 나무는 이미 가을이라

寒山獨過雁[한산독과안] 적막한 산을 홀로 지나는 기러기

暮雨遠來舟[모우원래주] 저녁 빗속에 먼 곳에서 오는 배

日夕逢歸客[일석봉귀객] 저녁에 돌아오는 나그네 맞으니

那能忘舊遊[나능망구유] 어찌 지난날 놀던 일을 잊겠는가

 

<淮上遇洛陽李主簿회상우낙양이주부 / 회수 가에서 낙양서 알던 이 주부를 만나다 / 韋應物위응물>

 


위응물[韋應物] () 나라 때의 시인으로 장안(長安: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 사람이다. 천보(天寶) 10(751) 음서(蔭敍)로 삼위랑(三衛郞)이 되었다. 젊어서 임협(任俠)을 좋아하여 현종(玄宗)의 경호책임자가 되어 총애를 받았다. 안사의 난[安史之亂]을 겪고 현종(玄宗)이 세상을 뜬 뒤에는 독서에 전념했다. 정원(貞元) 6(790)에 소주자사(蘇州刺史)를 끝으로 만년에는 소주성 밖에 있는 영정사(永定寺)에서 지냈다. 그의 시()는 전원산림(田園山林)의 고요한 정취를 소재로 한 작품이 많다. 세상에서 도연명(陶淵明)에 비겨 도위(陶韋)라고 일컬었으며, 또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유종원(柳宗元)에 배합하여 왕맹위유(王孟韋柳)라고도 불렀다. 저주(滁州)와 강주(江州), 소주(蘇州)에서 자사(刺史)를 지냈고, 좌사낭중(左司郎中)을 지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를 위강주(韋江州), 위좌사(韋左司), 위소주(韋蘇州)라고도 불렀다. 위강주집(韋江州集) 10, 위소주시집(韋蘇州詩集) 2, 위소주집(韋蘇州集) 10권이 전한다.

회상[淮上]회수(淮水)가이다.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회양(淮陽) 일대이다. 회수(淮水)는 하남성(河南省)에서 발원하여 안휘성(安徽省)을 지나 강소성을 거쳐 바다로 흘러드는 중국 셋째의 큰 강이다.

회상[淮上] 회수변(淮水邊). 오늘날의 강소성(江蘇省) 회음(淮陰) 일대를 가리킨다. 남경(南京)에서 회음까지는 수로이고 회음에서 산동의 등주(登州)까지는 육로이다.

한산[寒山] 가을 산의 별칭. 가을이 되면 산에 한기가 있다 하여 한산(寒山)이라고도 한다. 초목이 시든 썰렁한 겨울의 산. 인기척 없는 쓸쓸한 산.

한산[寒山] 절강성(浙江省) 천태현(天台縣)에 있는 산으로 당나라 때 시승(詩僧) 한산자(寒山子)가 살았던 곳이다. 한산자(寒山子)는 자신의 시에 우습겠지 한산이 다니는 길에, 수레나 말이 다닌 자취 없으니.[可笑寒山道, 而無車馬踪]”라고 하였다.

일석[日夕] 저녁. 해가 질 무렵부터 밤이 되기까지의 사이. 밤낮. 주야. 황혼.

나능[那能] 어찌~할 수 있겠는가?

구유[舊遊] 예전에 노닐던 일. 지난날의 벗. 옛날에 같이 노닐던 사람들. 전날 가본 곳. 전날 함께 어울린 사람. 친구. 소철(蘇轍)의 시 송유자옥(送柳子玉)옛 친구들 어느 날 흩어져버리고, 새 사람 누구와 무리 이룰까.[舊游日零落, 新輩誰與伍]”라고 읊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