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山民[산민] 화전민

 

- 金昌協[김창협] -

 

下馬問人居[하마문인거] 말에서 내려 누구 없소 부르니

婦女出門看[부녀출문간] 아낙네 문을 열고 나와 보고는

坐客茅屋下[좌객모옥하] 손님을 띠 집 안에 모셔 앉히고

爲客具飯餐[위객구반찬] 손을 위해 식사를 차려 내오네

丈夫亦何在[장부역하재] 장부들은 모두 다 어디에 있오

扶犁朝上山[부리조상산] 농사 지러 아침에 산에 갔어요

山田苦難耕[산전고난경] 산밭은 일구기가 괴롭고 힘들어

日晩猶未還[일만유미환] 날이 저물어도 돌아오지 못한다오

四顧絶無[사고절무린] 사방을 둘러봐도 이웃이라곤 없고

犬依層巒[계견의층만] 개와 닭만 첩첩 산에 의지해 살뿐

中林多猛虎[중림다맹호] 중숲에는 사나운 호랑이 많아

采藿不盈盤[채곽불영반] 콩잎을 뜯어도 소반을 못 채운다니

哀此獨何好[애차독하호] 애처롭다 외딴 곳이 어찌 좋으랴

崎嶇山谷間[기구산곡간] 가파르고 험한 산골 틈바구니가

樂哉彼平土[낙재피평토] 평지에 산다면야 좋기야 하겠지만

欲往畏縣官[욕왕외현관] 가고 싶어도 벼슬아치 두렵다오

 

<山民산민 / 산골 백성 / 金昌協김창협 : 農巖集농암집>

 


김창협[金昌協] 경기도 과천 출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 삼주(三洲).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자이고,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의 아우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안정 나씨(安定羅氏)로 해주목사 나성두(羅星斗)의 딸이다. 1669(현종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1682(숙종 8) 증광문과에 전시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에 출사하였다. 이어서 병조좌랑, 사헌부지평, 부교리 등을 거쳐 교리, 이조좌랑, 함경북도병마평사(咸鏡北道兵馬評事), 이조정랑, 집의, 동부승지, 대사성, 병조참지(兵曹參知), 예조참의, 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김창협의 문장은 단아하고 순수하여 구양수(歐陽修)의 정수를 얻었으며, 김창협의 시는 두보(杜甫)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고상한 시풍을 이루었다. 특히, 문장에 능하고 글씨도 잘 써서 문정공이단상비(文貞公李端相碑), 감사이만웅비(監司李萬雄碑), 김숭겸표(金崇謙表), 김명원신도비전액(金命元神道碑篆額) 등의 작품을 남겼다. 저서로는 농암집(農巖集), 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 논어상설(論語詳說), 오자수언(五子粹言), 이가시선(二家詩選) 등이 있고, 편저로는 강도충렬록(江都忠烈錄), 문곡연보(文谷年譜) 등이 있다.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영암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 제향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인거[人居] 사람이 있음. 사람이 삶. 사람이 거주하다.

부리[扶犁] 농사를 짓다. 농업에 종사하다.

층만[層巒] 첩첩이 이어진 산. 여러 층으로 겹쳐 있는 산. 이어져 겹쳐있는 산들.

중림[中林] 교목과 관목이 뒤섞여 있는 숲. 교림(喬林)과 왜림(矮林)이 뒤섞인 산림(山林). 중수풀. 중숲.

기구[崎嶇] 산길이 가파르고 험하다. 또는 지세(地勢)나 도로가 평탄하지 않고 험하다. 처세에 어려운 고비가 많다. 세상살이가 순탄하지 못하고 가탈이 많다. 삶이 순조롭지 못하고 온갖 어려움을 겪는 상태에 있다. 줏대 없이 비굴하게 아첨하다.

현관[縣官] 관가(官家)라는 말과 같다. 옛날, ()의 우두머리인 현령(縣令), 현감(縣監)을 일컫던 말이다.

현관[縣官] 주현(州縣)의 관장(官長). 현리(縣吏) 혹은 관부(官府)란 뜻과 조정(朝廷) 혹은 황제(皇帝)를 지칭하는 하는 말로 쓰인다.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도 두렵다. , 가혹한 정치(과중한 세금과 강제 노역 등)로 말미암아 백성에게 미치는 해는 범의 해보다 맹렬함을 뜻한다. 공자가 제자들과 태산(泰山)을 지나가다가 어떤 아낙네가 묘() 옆에서 통곡하고 있는 것을 보고는 어찌 된 영문인지 물었더니, 예전에 시아버지와 남편을 호랑이가 잡아먹었는데 이제는 아들까지 잡아먹었다고 하였으므로, 공자가 그렇다면 왜 이곳을 떠나지 않느냐고 묻자, 여기는 가혹한 정사가 없어서 그렇다고 대답하니, 공자가 제자들에게 너희들은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정사는 맹호보다도 사나운 것이니라.[小子聽之 苛政猛於虎]”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