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放言五首[其三]방언5수3 / 옥돌을 시험하려면
- 白居易[백거이] -
贈君一法決狐疑[증군일법결호의] 그대에게 의심 잘라낼 방법을 주리니
不用鑽龜與祝蓍[불용찬귀여축시] 거북점과 시초점은 볼 필요도 없다네
試玉要燒三日滿[시옥요소삼일만] 옥돌 시험하려면 온 삼일 달궈야하고
辨材須待七年期[변재수대칠년기] 재목을 가리려면 7년은 기다려야하네
周公恐懼流言日[주공공구류언일] 유언비어 떠돌 땐 주공도 두려워했고
王莽謙恭未簒時[왕망겸공미찬시] 왕위 찬탈 전에는 왕망도 겸손했다네
向使當初身便死[향사당초신편사] 만약 그 일 있기 전 그들이 죽었다면
一生眞僞復誰知[일생진위부수지] 그들의 일생 진위 어느누가 알았겠나
幷序병서 : 원진(元稹)이 강릉(江陵)에 있을 때 방언(放言)이라는 장구 다섯 수를 지었다. 그 시운이 높고 시율은 격식을 갖추었으며, 시의는 예스러우나 시어는 참신하였다. 내가 매번 그 시를 읊을 때마다 그 맛을 깊이 음미했다. 비록 선배들 중에 시에 깊이 있는 자가 있었지만, 원진의 이런 시는 없었는데, 그나마 이기(李頎)의 “濟水至淸河自濁, 周公大聖接輿狂.”이라는 시구만이 그에 가까웠다. 내가 심양의 보좌로 출임함에 아직 임지에 이르지 않았고 배 위에서도 한가했기에 강물 위에서 홀로 읊어 다섯 수를 엮어 원진의 뜻을 잇고자할 따름이다[元九在江陵時, 有放言長句詩五首, 韻高而體律, 意古而詞新. 予每詠之, 甚覺有味, 雖前輩深於詩者, 未有此作. 唯李頎有云: “濟水至淸河自濁, 周公大聖接輿狂.” 斯句近之矣. 予出佐潯陽, 未屆所任, 舟中多暇, 江上獨吟, 因綴五篇以續其意耳.] <放言 五首 幷序>
❍ 원구[元九] 원(元)씨 집안의 아홉 번째 아들, 곧 원진(元稹).
❍ 방언[放言] 거리낌이 없이 함부로 말함. 또는 그 말. 나오는 대로 말함. 세상일을 이야기하지 않다. 거침없이 말함. 나오는 대로 무책임하게 지껄이는 말.
❍ 호의[狐疑] 의심하다. 의심이 많다. 여우가 의심이 많다는 뜻으로, 매사에 깊이 의심함을 이르는 말.
❍ 호의불결[狐疑不決] 여우는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하여 머뭇거리고 결행하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호의미결(狐疑未決)이라고도 한다. 진(晉) 나라 때 곽연생(郭緣生)이 지은 술정기(述征記)에 “황하(黃河)의 나루터인 맹진(盟津)과 하진(河津)은 겨울에 강이 얼면 얼음의 두께가 몇 장이나 되어 수레가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얼음이 얼기 시작할 때는 섣불리 건너지 못하고 여우를 먼저 건너가게 하였다. 여우는 귀가 밝아서 얼음 밑에서 물소리가 나면 가다 말고 되돌아왔다. 여우가 무사히 강을 다 건너가면 사람들이 비로소 안심하고 수레를 출발하였다.”고 하였다. 또,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은 이소(離騷)에서 “머뭇거리고 여우처럼 의심하는 내 마음이여, 스스로 가고파도 갈 수가 없네[心猶豫而狐疑兮, 欲自適而不可]”라고 읊었다. 또, 후한서(後漢書)의 유표전(劉表傳)에 “원소(袁紹)가 조조(曺操)와 대치하고 있을 때 유표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이때, 유표는 여우처럼 의심하여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한숭(韓嵩)을 조조에게 보내어 허와 실을 살피도록 하였다[表狐疑不斷, 乃遣嵩詣操, 觀望虛實.]”라고 하였다.
❍ 찬귀[鑽龜] 거북점. 거북의 등껍질을 뚫어 그 균열로 길흉을 점친다.
❍ 왕망[王莽] 서한(西漢) 말 왕망(王莽)은 대사마(大司馬)로 있으면서 두 차례 사임하여 권력과 이권에 뜻이 없음을 나타내었으나, 결국 쇠약해진 한 왕실(漢王室)을 찬탈하여 신(新)나라 세웠다.
❍ 시옥요소삼일만[試玉要燒三日滿] 백거이의 자주(自注)에 “진짜 옥은 삼일동안 불에 넣어도 타거나 뜨거워지지 않는다[眞玉燒三日不熱]”고 하였고, 회남자(淮南子) 숙진훈(俶眞訓)에 “종산의 옥은 숯화로에 가열하여 삼일 밤낮이 되어도 색채나 광택이 변하지 않는다[鍾山之玉, 炊以爐炭, 三日三夜而色澤不變.]”고 하였다.
❍ 변재수대칠년기[辨材須待七年期] 백거이의 자주(自注)에 “예장(豫章: 녹나무)은 재목으로 쓰려면 7년을 기다려야 한다[豫章木, 生七年而後知]”고 하였다. 豫章:枕木和樟木. <史記. 司馬相如傳>:“其北則有陰林巨樹楩楠豫章.” <正義>:“豫:今之枕木也;樟, 今之樟木也. 二木生至七年, 枕樟乃可分別.”
❍ 겸공[謙恭] 자기를 낮추고 다른 사람을 높이는 태도가 있음. 남을 높이고 자기(自己)를 낮춤을 뜻하는 말.
'한시[漢詩]산책 > 한시 인생[人生]' 카테고리의 다른 글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 하란섬과 이별하며 / 杜甫두보 (0) | 2020.07.30 |
---|---|
初春초춘 / 이른 봄 / 歐陽脩구양수 (0) | 2020.07.30 |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 가니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30 |
秋雨嘆三首[其三]추우탄3수3 / 담장 안만 지키네 / 杜甫두보 (0) | 2020.07.30 |
放言五首[其四]방언5수4 / 해골이 된 후에는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30 |
放言五首[其二]방언5수2 / 화복은 돌고 돌아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30 |
放言五首[其一]방언5수1 / 연잎 이슬 둥글어도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30 |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七]불여래음주7수7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05 |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六]불여래음주7수6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05 |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五]불여래음주7수5 / 白居易백거이 (0) | 202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