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호탁씨[壺涿氏] 주(周)시대에 수충(水蟲)제거를 맡았던 사람이다.
❏ 호탕백구[浩蕩白鷗] 두보(杜甫)의 시(詩)에 “백구가 호탕한 데 빠지니 만 리에 누가 능히 깃들랴.[白鷗沒浩蕩 萬里誰能馴]”라고 한 구절이 있다. 이것은 높은 선비가 세속을 멀리 떠나감을 말한 것이다.
❏ 호포[戶布] 신역을 지지 않는 양인이 그 대신 국가에 군포(軍布)를 바쳐오던 제도로 하여 파생한 여러 가지 폐단을 막기 위해 새로 시도한 제도. 효종(孝宗)은 그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그것을 양인들에게만 부과해오던 것을 신분의 귀천에 관계없이 모두 일정한 양의 베를 바치게 하였다.
❏ 호포천[虎跑泉] 중국 강서성 구강현 남쪽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 뒤에 있는 샘이다. 진(晉)의 혜원(慧遠)이 연사(蓮社)의 여러 현자들과 상방봉(上方峯) 꼭대기에서 놀면서 물길이 너무 멀어 걱정이었는데, 호랑이가 나타나 바위 밑을 후벼파서 샘을 만들었다 하여 생긴 이름이다. <淸一統志>
❏ 호표개합[虎豹開闔] 병서에 육도(六韜) 삼략(三略)이 있는데 육도는 용도(龍韜)·호도(虎韜)·표도(豹韜) 등이다. 열었다 닫았다는 말은 변화개합(變化開闔)한다는 뜻이다.
❏ 호표구관[虎豹九關] 임금 곁에 강포한 자들이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초사(楚辭) 초혼(招魂)에 “호표들이 천제(天帝)의 궁중문을 지키면서 아랫사람들을 물어 죽인다.[虎豹九關 啄害下人些]”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호표도[虎豹韜] 강태공(姜太公)의 육도(六韜)·삼략(三略) 중에 호도(虎韜)·표도(豹韜)가 있다.
❏ 호표부[虎豹符] 고대에 왕이 군대를 이동하고 장수를 파견할 때 이용하는 신물(信物)이다. 범의 형태로 구리쇠로 만들며 등에 문자를 새기는데, 이것을 두 쪽으로 나누어 오른쪽은 대궐에 놓아두고 왼쪽은 군사를 거느린 장수나 지방 장관에게 넘겨줬다가 군대를 이동할 때 조정의 사신이 그것을 가져가 서로 맞춰보고 틀림이 없으면 비로소 효력이 발생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지원[胡地怨], 호천[壺天], 호천망극[昊天罔極], 호청경[虎聽經], 호축계[好祝雞], 호치단순[皓齒丹脣] (1) | 2025.07.25 |
---|---|
호중세월[壺中歲月], 호중일월[壺中日月], 호중천지[壺中天地], 호중한[壺中閒], 호증[胡曾] (1) | 2025.07.23 |
호접몽[胡蝶夢], 호접진[蝴蝶陣], 호정교[胡釘鉸], 호조비화[好鳥飛花], 호주두목[湖州杜牧] (2) | 2025.07.17 |
호의[狐疑], 호의[縞衣], 호자가[瓠子歌], 호장[壺漿], 호저[縞紵], 호저회[縞紵懷] (4) | 2025.07.15 |
호우[湖右], 호원지리[胡苑之利], 호월[胡越], 호위[虎闈], 호유[戶牖], 호유[胡荽] (0) | 2025.07.09 |
호아[虎牙], 호안[胡眼], 호앙천랑[胡昂天狼], 호어[濠魚], 호연희연[皞然熙然], 호염읍[胡髥泣] (0) | 2025.07.04 |
호승[胡繩], 호시석노[楛矢石砮], 호시장도[弧矢壯圖], 호시탐탐[虎視眈眈], 호식내열[虎食內熱] (1) | 2025.06.27 |
호섭수 유기미[狐涉水 濡其尾], 호손입낭[胡孫入囊], 호수[狐首], 호수한사[皓首漢駟], 호숭[呼嵩] (1) | 2025.06.25 |
호사수구[狐死首丘], 호사유피[虎死留皮], 호사자[好事者], 호상락[濠上樂], 호생[好生] (2) | 2025.06.18 |
호복의[濠濮意], 호부[虎符], 호부견자[虎父犬子], 호분[胡紛], 호분[虎賁], 호사다마[好事多魔] (2)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