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위야[魏野] 섬주(陝州) 동교(東郊)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겼던 송 나라의 은자이다. <宋史 卷457>
❏ 위약[萎約] 시들어 쪼그러 들다.
❏ 위양왕[魏襄王] 전국 때 위나라 군주로 성은 희(姬)고 위(魏)씨에 이름은 사(嗣)다. 혜왕(惠王)의 아들로 기원전 334년에 즉위하여 319년에 죽었다. 즉위 초에 제후들과 서주(徐州)에서 회맹을 행하고 왕호를 칭하기 시작했다. 진나라와의 싸움에서 계속 패한 결과 서하(西河), 분음(汾陰), 곡옥(曲沃), 상군(上郡) 등을 모두 상실하고 다시 음진(陰晉)의 땅을 진나라에 바쳤다. 초나라를 공격하여 형산(陘山)의 땅을 점령했으나 얼마 후에 양릉(襄陵)에서 초군과 싸워 패했다. 명가(名家) 출신의 혜시(惠施)를 기용하여 재상으로 삼아 친제정책을 취했다. 후에 혜시를 쫓아내고 장의를 대신 재상으로 삼았다. 장의가 진나라를 받들라고 권하자 듣지 않고 다시 장의를 재상에서 파면했다. 일설에는 기원전 319년에서 296년 사이에 재위했으며 그의 사적 중 일부는 위애왕의 것이라고도 한다.
❏ 위언[韋偃] 당(唐) 나라 때 두릉(杜陵) 사람으로 그림을 잘 그렸는데, 특히 소나무와 돌을 잘 그렸다.
❏ 위언[韋偃] 위언은 두보(杜甫)와 동시대에 촉(蜀) 땅에서 활동했던 명화가이다. 산수(山水)와 죽수(竹樹), 인물과 말의 그림을 잘 그렸고, 특히 송석(松石)에 뛰어난 필법을 보였다. 두보의 ‘위언이 그린 쌍송도를 해학적으로 노래하다.[戱韋偃爲雙松圖歌]’라는 시에 “소나무 뿌리엔 조용히 쉬는 서역승(西域僧), 흰 눈썹 흰머리에 집착이 하나도 안 보이네. 오른편 어깨 드러낸 살 두 발도 마냥 맨발, 솔잎 속의 솔방울 스님 앞에 떨어졌네.[松根胡僧憩寂寞 龐眉皓首無住著 偏袒右肩露雙脚 葉裏松子僧前落]”라는 구절이 보인다. <杜少陵詩集 卷9>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족불여규[衛足不如葵]~위주삼곡용[魏犨三曲踊]~위주환완적[爲酒宦阮籍] (0) | 2020.07.01 |
---|---|
위제[魏齊]~위제이수자[委諸二竪子]~위제잉득평원류[魏齊仍得平原留] (0) | 2020.06.30 |
위이[委移]~위이불맹[威而不猛]~위자요황[魏紫姚黃]~위장[魏章] (0) | 2020.06.29 |
위요황자[魏姚黃紫]~위우동[委羽洞]~위육[位育] (0) | 2020.06.26 |
위여조로[危如朝露]~위염[魏冉]~위오사섬[蔿敖蛇殲]~위왕매[魏王梅] (0) | 2020.06.25 |
위수강운[渭樹江雲]~위시[衛詩]~위씨경[韋氏鏡] (0) | 2020.06.23 |
위성우가[渭城雨歌]~위성춘[渭城春]~위소랑[緯蕭郞]~위쇄[餧殺] (0) | 2020.06.22 |
위선생[衛先生]~위선최락[爲善最樂]~위성곡[渭城曲]~위성삼첩[渭城三疊] (0) | 2020.06.19 |
위산휴재궤[爲山虧在簣]~위상[魏尙]~위서[魏書]~위석[熨石] (0) | 2020.06.18 |
위백양[魏伯陽]~위부불인[爲富不仁]~위비언고[位卑言高] (0)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