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열자(列子) 설부편(說符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렸다. 도둑맞았다는 생각이 들자, 그 중에서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었다. 그의 걸음걸이를 보아도 그렇고, 안색을 보아도 그렇고, 말투 또한 영락없는 도끼 도둑이었다. 그러나 며칠 후 밭두렁에서 도끼를 찾았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웃집 아이를 만났는데, 이번에는 그의 거동이 조금도 수상쩍어 보이지 않았다.

또 다른 이야기도 있다.

어떤 사람이 이웃집 뜰에 말라죽은 오동나무를 보았다. 그래서 주인에게 다음과 같이 충고하였다.

말라죽은 오동나무는 불길합니다.”

그 말을 들고 주인은 오동나무를 베어버렸다.

그 이웃집 사람이 베어버린 오동나무를 땔감으로 쓰게 달라고 하자, 주인은 화를 내며 말하였다.

말라죽은 오동나무를 불길하다고 한 이유는 땔감 욕심에서 비롯된 음흉함이었군.”

세상 사람들은 자신의 이해와 관련이 없으면 일견 무심하다. 그러나 만약 자신의 이해와 얽히게 되면 아무리 옳은 것도 편견과 선입견으로 먼저 대한다. 이것이 바로 암귀(暗鬼)이다.

 

한비자(韓非子) 세난편(說難篇)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나라에 어떤 부자가 있었다. 어느 날 장마로 담장이 무너졌다. 그 아들이 말했다.

빨리 수리하지 않으면 도둑이 들지도 모릅니다.”

이웃에 사는 노인도 무너진 담장을 보고 같은 충고를 했다.

며칠 후 그 집에 도둑이 들었다. 부자는 아들에게는 선견지명이 있다고 하고, 노인은 수상하다고 여겼다.

똑같은 말을 했지만 하나는 칭찬받고 또 하나는 의심을 받아야 했다.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란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있지도 않은 귀신이 나오듯이 느껴진다는 뜻이다. 곧 마음 속에 의심이 생기면 갖가지 무서운 망상이 잇따라 일어나 사람은 불안해진다. 또한, 의심으로 인한 망상 또는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