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영재[鈴齋] 영재는 곧 영각(鈴閣)으로, 지방장관이 관할하는 지역을 말한다.
❏ 영재[泠齋] 유득공(柳得恭)의 호. 조선 정조(正祖) 때 사가(四家) 중의 한 사람으로 규장각 검서(奎藏閣檢書)와 풍천부사(豐川府使)를 지냈으며 회고시(懷古詩)와 기행문(紀行文)을 잘 지었다.
❏ 영재[令宰] 영재는 수령에 대한 경칭이다.
❏ 영제[禜祭] 수해(水害)・한재(旱災)・여역(癘疫) 등을 물리치기 위하여 산천의 신에게 비는 제사이다.
❏ 영제[令製] 태자가 지은 글을 말한다.
❏ 영조[靈照] 부친의 뜻을 잘 이해하는 어린 딸을 말한다. 방거사(龐居士)의 딸 영조가 장차 아비가 입멸(入滅)하려는 것을 알고 아비가 잠깐 자리를 비운 틈에 자기가 먼저 그 자리에 올라앉아 합장(合掌)하고 세상을 떠난 고사가 전한다. <景德傳燈錄 襄州居士龐蘊>
❏ 영족[靈族] 선인(仙人)의 무리들을 가리킨다.
❏ 영존[令尊]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일컫는다.
❏ 영주[瀛주]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하간현(河間縣).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진 시황과 한 무제가 불사약을 구하러 사신을 보냈다는 가상적인 선경(仙境)이다.
❏ 영주[瀛洲] 고부(古阜)의 고호이다.
❏ 영주[榮趎] 남영주(南榮趎). 경상초(庚桑楚)의 제자로서 도(道)를 듣기 위해 식량을 싸 지고 이레 낮 이레 밤을 걸어 노자(老子)가 있는 곳을 찾아갔다. <莊子庚桑楚>
❏ 영주[瀛洲] 발해(渤海) 가운데 있다고 하는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인 영주산(瀛洲山)으로, 여기에는 신선들이 살며 불사약(不死藥)이 자란다고 한다. 제주도를 가리키기도 한다.
❏ 영주[瀛洲] 영주(瀛洲)는 당 태종(唐太宗)이 설치한 문학관(文學館) 이름으로, 여기에 임명된 두여회(杜如晦), 방현령(房玄齡) 등 이른바 ‘십팔학사(十八學士)’를 당시에 사람들이 부러워하며 ‘영주에 올랐다[登瀛洲]’고 일컬었던 고사가 전한다. <新唐書 卷102 褚亮傳>
❏ 영주[瀛洲] 영주는 예문관(藝文館) 등의 청직(淸職)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탈이출[穎脫而出]~영탈처낭[穎脫處囊]~영통[苓通]~영투원공사[永投遠公社] (0) | 2019.05.08 |
---|---|
영철야[靈撤夜]~영첩지은[靈輒知恩]~영춘[靈椿]~영출[靈朮] (0) | 2019.05.07 |
영척반우[寗戚飯牛]~영천대성[穎川大姓]~영천옹[潁川翁]~영천훈업[潁川勳業] (0) | 2019.05.03 |
영지[靈芝]~영진[盈進]~영질[郢質]~영착위수공[郢斲爲誰工] (0) | 2019.05.02 |
영주관[瀛洲關]~영주십팔[瀛洲十八]~영중가[郢中歌]~영중질[郢中質] (0) | 2019.04.30 |
영자비산석[寗子悲山石]~영장[迎將]~영장상대성[郢匠相待成] (0) | 2019.04.26 |
영위[令威]~영유전궐[嬴劉顚蹶]~영인근[郢人斤]~영인착비[郢人斲鼻] (0) | 2019.04.25 |
영원[靈源]~영원[鴒原]~영원분수[鴒原分手]~영원한[鴒原恨] (0) | 2019.04.24 |
영운과[靈運過]~영운극[靈運屐]~영운망가[靈運忘家] (0) | 2019.04.23 |
영영[營營]~영영일수[盈盈一水]~영왕전리[纓王剸李]~영왕찬[迎王粲] (0) |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