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溪居[계거] 산골짝에서 살며

 

- 柳宗元[유종원] -

 

久爲簪組累[구위잠조루] 오랜 동안 벼슬살이 매어 살다가

幸此南夷謫[행차남이적] 다행인지 남녘 땅에 귀양 왔다네

閒依農圃鄰[한의농포린] 한가히 이웃 농사 돕고 사노라니

偶似山林客[우사산림객] 뜻하지 않게 산림의 처사 되었네

曉耕露草[효경번로초] 새벽부터 이슬 젖은 풀 갈아엎고

夜榜響溪石[야방향계석] 밤이면 배를 저어 조약돌 울리네

來往不逢人[내왕불봉인] 오거나 가거나 마주칠 사람 없고

長歌楚天碧[장가초천벽] 긴 노래에 초나라 하늘만 푸르네

 


유종원[柳宗元]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 사람으로 중당기(中唐期)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문장가이다. ()는 자후(子厚)이고, 하동(河東) 사람이라 하여 유하동(柳河東), 유주자사(柳州刺史)를 지냈다하여 유유주(柳柳州)로도 불렸다. 하동(河東: 산서성山西省)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나, 장안(長安: 섬서성陝西省)에서 출생하여 자라났다. 소년시대부터 신동이라는 소문이 자자하였고, 스물한 살 때 진사에 급제, 5년 후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도 합격하였다. 벼슬은 감찰어사(監察御史)영주사마(永州司馬)유주자사(柳州刺史)를 역임하였다. 관직에 있을 때 한유(韓愈)유우석(劉禹錫) 등과 친교를 맺었다. 혁신적 진보주의자로서 왕숙문(王叔文)의 신정(新政)에 참여하였으나 실패하여 변경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좌절과 13년간에 걸친 변경에서의 생활이 그의 사상과 문학을 더욱 심화시켰다. 고문(古文)의 대가로 한유(韓愈)와 함께 고문운동(古文運動)을 제창하여 한유(韓柳)로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적이었다. 한유가 전통주의인 데 반하여 유종원은 유교와 도교와 불교를 참작하고 신비주의를 배격한 자유주의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천설(天說), 비국어(非國語), 봉건론(封建論) 등이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또 우언(寓言) 형식의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에 그려낸 산문에도 능했다. 그는 이러한 작품을 통해 관료를 비판하고 현실을 반영하는 한편, 자신의 우울과 고민을 술회하였는데 그 자구(字句)의 완숙미와 표현의 간결정채함이 특히 뛰어났다. 산수시(山水詩)에 특히 뛰어나 도연명(陶淵明)과 비교되었고, 왕유(王維)맹호연(孟浩然)과 더불어 당시(唐詩)의 전원파를 형성하였다. 송별시와 우언시(寓言詩)에도 뛰어나 우분애원(憂憤哀怨)의 서정을 표현하는 수법이 굴원(屈原)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저서에 유선생문집(柳先生文集), 용성록(龍城錄), 유하동집(柳河東集) 45, 외집(外集) 2, 보유(補遺) 1권 등이 있다. 한유(韓愈), 구양수(歐陽脩), 소순(蘇洵), 소식(蘇軾), 소철(蘇轍), 왕안석(王安石), 증공(曾鞏) 등과 함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잠조[簪組] 고대 관리들의 복식. 고위 관리를 이르는 말. 관직, 벼슬살이. 잠불(簪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