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실마[失馬] 인생의 길흉화복은 무상하여, 화가 복이 될 수도 있고 복이 화가 될 수도 있어 도무지 예측할 수 없음을 말한 것으로, 즉 새옹마(塞翁馬)의 고사에서 온 말인데, 자세한 내용은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나타나 있다.

실마옹[失馬翁] 실마옹은 말을 잃은 노인이란 뜻으로 세옹실마(塞翁失馬)를 가리킨다.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북쪽 변방에 살고 있던 어떤 노인이 이유 없이 말이 오랑캐 땅으로 도망쳤다가 뒤에 여러 마리의 말을 데리고 온 일을 인용하여 화복(禍福)의 무상함을 말했다.

실비망도[失匕罔圖] 유비(劉備)가 조조(曹操)와 술을 마시며 천하의 영웅을 논하다가 지금 천하 영웅은 오직 그대와 나뿐.”이란 조조의 말에 놀라 손에 들었던 숟가락이 저도 모르게 땅에 떨어졌는데, 마침 우레가 요란했으므로 , 천둥소리에 혼이 났군.”이라 하고 핑계했다. <三國志演義>

실사구시[實事求是] 실제의 일에서 진리를 추구한다는 데서, 사실에 의거하여 진리를 탐구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적인 일에서 올바름을 찾음. ,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한다. 실제로 있는 일에서 진리를 구한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성리학의 연구 태도가 지나치게 관념적인 세계에 치중하여 그 폐단이 드러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문의 방도로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제시하였다.

실상[實相] 불가(佛家)의 용어로, 생멸(生滅) 무상(無常)의 상()을 떠난 만유제법(萬有諸法)의 진상(眞相), 즉 본체(本體)를 말한다.

실소[失笑] 참지 못하고 자기도 모르게 터져 나오는 웃음을 말한다.

실솔[蟋蟀] 귀뚜라미과에 속하는 곤충. 첫가을부터 밤에 운다.

실솔[蟋蟀] 매우 검소함을 비유한 말. 실솔은 시경(詩經) 당풍(唐風)의 편명인데, 그 내용은 요() 임금의 옛 도읍지인 당() 나라가 아직도 요 임금의 남긴 덕이 있어, 백성들의 풍속이 매우 부지런하고 검소하여 서로 본분을 잃지 말자고 경계하는 뜻을 노래한 것이다.

실솔입상하[蟋蟀入床下] 날이 추워질수록 귀뚜라미는 따듯한 곳으로 들어감을 이르는데, 시경(詩經) 빈풍(豳風) 칠월(七月)시월에 귀뚜라미가 나의 침상 밑에 들어온다[十月蟋蟀 入我床下]”고 한 데서 온 말로, 10월이 되어 해가 곧 바뀌게 되었음을 뜻한 말이다.

실솔편[蟋蟀篇] 시전(詩傳)의 편명. 그 시에 귀뚜라미 마루에 있으니 해가 저물어 가네. 이제 내가 즐기지 않으면 세월은 흐르기만 하리라.”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