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삼평이만[三平二滿] 평온하게 세월을 보낸다는 뜻으로, 고대 천문역법에서는 소위 건제(建除) 12()’이라는 것이 있어서 천문성상(天文星像)을 가지고 인간사의 12가지 정황을 예측하였다. 건제 또는 건제 12신은 건(((滿((((((((()이고 여기에 간지를 배치해 그날 그날의 길흉을 점쳤다. 예컨대 하루에 12개의 時辰이 있는데 만약 3개가 이고 2개가 滿이면 아주 평온한 날로 판단해 아주 당연히 만족해하였다.

삼표[三表] () 나라 가의(賈誼)가 올린 흉노(匈奴)에 대한 회유책(懷柔策)으로 삼표오이(三表五餌)의 준말이다. 삼표는 인도(仁道), 상의(常義), 연낙(然諾)이고, 오이는 이(), (), (), (), ()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新書 匈奴>

삼품[三品] 삼품에 대해서 주자(朱子)는 제사 음식용, 빈객 대접용, 주방 비축용이라고 해설하였다.

삼풍[三風] 삼풍은 십건(十愆)을 묶어 말한 정사를 그르치는 세 가지 풍인데, 곧 무풍(巫風음풍(淫風난풍(亂風)이다.

삼풍십건[三風十愆] 무풍(巫風음풍(淫風난풍(亂風)에 해당한 사항으로서 늘 궁중에서 춤을 추거나 실내에서 술에 취해 노래하면 그것이 무풍이고, 재물 또는 여색에 목숨을 걸거나 놀이와 사냥만을 즐기면 그것이 음풍이며,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기고, 충직(忠直)한 이를 거역하고, 덕망 있는 원로를 멀리하고, 완악한 동자를 가까이하면 그것이 난풍이라는 것으로 탕()이 후세 자손을 경계하는 뜻에서 관형(官刑) 제도를 두고 이러한 풍습을 제재하였다.<書經 伊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