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람에게도 짐승의 마음이 있다

 

열자2편 황제18]-

 

사람의 형상이 반드시 같지 않으면서도 지혜가 같기도 하고, 지혜가 반드시 같지 않으면서도 형상이 같기도 하다. 성인은 지혜가 같은 것을 취하고 형상이 같은 것은 버린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자기와 형상이 같은 사람은 가까이 하고, 자기와 지혜가 같은 사람은 멀리한다. 형상이 자기와 같은 사람은 가까이 하여 사랑하고 형상이 자기와 다른 사람은 무서워하며 멀리한다.

일곱 자 정도의 신체와 각각 다른 손과 발을 가지고 머리에는 머리칼이 나고 입에는 이가 있어서 서로 의지하여 한데 어울리는 것을 사람이라고 한다. 그러나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짐승의 마음이 없는 것도 아니다. 비록 짐승의 마음을 가졌어도 형상만 보고 서로 친근히 지낸다.

날개가 있고, 뿔이 있고, 어금니와 발톱이 있어서 공중으로 날아다니거나 땅을 기어다니는 것을 새와 짐승이라 한다. 그러나 새와 짐승이라 해서 반드시 사람의 마음이 없는 것도 아니다. 비록 사람의 마음을 가졌을 지라도 형상만 보고서 서로 멀리한다.

옛날 포희씨와 여화씨와 신농씨와 하후씨는 모두 몸은 뱀의 몸뚱이에 얼굴은 사람의 얼굴이었으며, 머리는 소의 머리이고 코는 호랑이 코여서 그들은 사람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모두 대 성인의 덕이 있었다.

하나라의 걸임금과 은나라의 주임금과 노나라의 환공과 초나라의 목공과 같은 사람들은 그 생김새와 일곱 구멍이 모두 사람과 같았지만 새와 짐승의 마음이 있었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사람이 하나의 형상만 잘 갖추어 있으면 곧 마음에도 지극한 지혜가 있다고 보니 그 말을 기대할 수가 없다.

황제와 염제가 판천의 들판에서 싸울 때에 곰과 큰곰과 이리와 표범과 호랑이 떼로 전위부대를 삼고, 수리와 독수리와 매와 솔개 떼로 기치를 삼았으니 이것은 다 힘으로써 새와 짐승을 마음대로 부린 사람들이었다.

요임금은 기라는 악사에게 음악회를 열게 하여 돌을 쳐서 장단을 맞추니, 온갖 짐승들이 기어들어 춤을 추었고, 퉁소와 피리를 불어 연주를 하니 봉황새도 날아들어 춤을 추었다. 이것은 다 소리로 새와 짐승을 불러오게 한 것이다.

그러니 새와 짐승의 마음이 어찌 사람과 다르겠는가. 다만 새와 짐승의 형체와 음성이 달라서 이것들과 접근하는 도리를 모를 뿐이다. 성인은 알지 못하는 것이 없고, 통하지 않는 것이 없으므로 이런 이치를 인용하여 그것들을 부릴 수 있었던 것이다. 새와 짐승의 지혜도 자연히 사람과 같은 면이 있는 것은 그것이 다 같이 살려고 하는 동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와 짐승은 지혜를 사람에게 빌려오지 않고 저희끼리 사는 것이다.

암놈과 수놈이 서로 짝을 짓고, 어미와 새끼가 서로 사랑하고, 평지를 피하여 험한 곳에 의지하고, 추운 곳을 피하여 따뜻한 곳으로 가고, 보금자리나 굴속에 있을 때에는 떼를 지어 같이 있고, 밖을 걸어다닐 때에는 열을 지어 같이 가고, 어린것은 집안에 있고, 장성한 것은 밖에 있고, 물을 마시려 할 때에는 서로 이끌고 가고, 먹을 것이 있을 때에는 다른 여러 놈에게 알려 준다. 아주 옛날에는 그것들이 사람들과 같이 살고 같이 걸어다녔었다. 그러나 오제와 삼왕 때에 이르러서는 그것들이 비로소 놀래어 흩어지게 되었다. 그 다음 말세가 되면서부터는 사람이 무서워져서 해를 입을까 숨어 엎디어 살게 되었다.

동방의 개씨라는 나라에는 동물들의 말을 잘 알아듣는 사람이 흔하다. 그것은 물론 대개 한편만 알 수 있는 지식이다. 아주 옛날의 신인과 성인들은 만물의 실성을 갖추어 알았었고, 다른 종류의 음성을 알아들어서 그것들과 같이 모여 있었고, 또 그것들을 받아들여 가르침으로써 백성들과 같이 살게 하였다. 그러므로 성인은 먼저 귀신과 도깨비를 모아 놓았고, 그 다음에는 사면팔방의 백성들을 모아 놓고, 끝으로는 새와 짐승과 벌레와 나비 같은 것들을 모아놓았다. 이것은 혈기가 있는 모든 동물은 그 마음과 지혜가 사람과 그리 차이가 있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옛날 신인과 성인은 사람과 동물의 관계가 이런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 교훈하는 것이 속속들이 가서 하나도 남김이 없었다.

 

列子2篇 黃帝18]-

狀不必童, 而智童; 智不必童, 而狀童. 聖人取童智而遺童狀, 衆人近童狀而疏童智. 狀與我童者, 近而愛之; 狀與我異者, 疏而畏之. 有七尺之骸, 手足之異, 戴髮含齒, 倚而趣者, 謂之人. 而人未必無獸心; 雖有獸心, 以狀而見親矣. 傅翼戴角, 分牙布爪, 仰飛伏走, 謂之禽獸. 而禽獸未必無人心; 雖有人心, 以狀而見疏矣. 庖犧氏女媧氏神農氏夏後氏, 蛇身人面, 牛首虎鼻; 此有非人之狀, 而有大聖之德. 夏桀殷紂魯桓楚穆, 狀貌七竅, 皆同於人, 而有禽獸之心. 而衆人守一狀以求至智, 未可幾也. 黃帝與炎帝戰於阪泉之野, 帥熊羆狼虎爲前驅, [+]鳶爲旗幟, 此以力使禽獸者也. 堯使蘷典樂, 擊石拊石, 右獸率舞; 簫韶九成, 鳳皇來儀, 此以聲致禽獸者也. 然則禽獸之心奚爲異人? 形音與人異, 而不知接之之道焉. 聖人無所不知, 無所不通, 故得引而使之焉. 禽獸之智有自然與人童者, 其齊欲攝生, 亦不假智於人也. 牝牡相偶, 母子相親, 避平依險, 違寒就溫; 居則有羣, 行則有列; 小者居內, 壯者居外; 飮則相攜, 食則鳴羣. 太古之時, 則與人同處, 與人竝行. 帝王之時, 始驚駭散亂矣. 逮於末世, 隱伏逃竄, 以避患害. 今東方介氏之國, 其國人數數解六畜之語者, 蓋偏知之所得, 太古神聖之人, 備知萬物情態, 悉解異類音聲. 會而聚之, 訓而受之, 同於人民. 故先會鬼神魑魅, 次達八方人民, 末聚禽獸蟲蛾. 言血氣之類, 心智不殊遠也. 神聖知其如此, 故其所敎訓者無所遺逸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