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도불습유[道不拾遺] 길에 떨어진 것도 줍지 않는다. 생활의 여유가 생기고 믿음이 차 있는 세상의 아름다운 풍속을 이르는 말이다. 법이 엄격하게 시행되어 길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줍는 자가 없을 만큼 나라가 잘 다스려졌다는 뜻이다. 세상이 안정(安定)되고, 민심(民心)이 순박(淳朴)함을 비유한 말이다. 路不拾遺(노불습유)라고도 한다. 유사한 표현으로 도부유습(道不遺拾;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음), 야불폐호(夜不閉戶밤에 문을 닫지 않음)이라는 말도 있다.
❏ 도비[掉臂] 팔을 내저어 돌아본 체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누구에게도 응수하거나 돌아본 체하지 않고 조용히 지낸다는 뜻이다.
❏ 도사[陶舍] 도사(陶舍)는 도연명의 집이다. 진(晉) 나라 도잠(陶潛)이 문 앞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를 심고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지었다. <晉書 卷 94 陶潛傳>
❏ 도사[陶謝] 진(晉) 나라 도연명(陶淵明)과 남조 송(宋)의 사영운(謝靈運)을 병칭한 말이다. 각각 전원시(田園詩)와 산수시(山水詩)에 능하여, 자연의 경물 묘사에 최고의 솜씨를 선보이고 있다.
❏ 도삭[度索] 동해 바다 속에 있다는 전설상의 섬 이름이다. 한(漢) 나라 왕충(王充)의 논형(論衡) 난룡(亂龍)에 “상고 시대에 귀신을 잘 잡는 신도(神荼)와 울루(鬱壘) 형제가 이 산 위의 복숭아나무 아래에 서서 귀신들을 검열하였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 도삭반도[度索蟠桃] 창해(滄海) 속에 도색산(度索山)이 있는데, 그 꼭대기에는 큰 복숭아나무가 있어 반도가 열린다고 한다. 반도는 전설 속에 나오는 신선들이 먹는 복숭아로, 삼천 년마다 한 번 열매를 맺으며, 이 복숭아를 먹으면 불로장생한다고 한다. <山海經>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수[島瘦]~도습[蹈襲]~도시[倒屎] (0) | 2015.04.27 |
---|---|
도소주[屠穌酒]~도소지양[屠所之羊]~도솔천[兜率天] (0) | 2015.04.27 |
도색반도[度索蟠桃]~도서조박비심전[圖書糟粕匪心傳]~도소부[搗素賦] (0) | 2015.04.27 |
도산사일침루경[塗山四日寢屢驚]~도산지회[嵞山之會]~도상문우[道上問牛] (0) | 2015.04.24 |
도산[嵞山]~도산[陶山]~도산로[陶山老] (0) | 2015.04.24 |
도보[道甫]~도본준[屠本畯]~도부[桃符] (0) | 2015.04.24 |
도방고리[道傍苦李]~도방리고오투육[道傍吏苦烏偸肉]~도변고리[道邊苦李] (0) | 2015.04.24 |
도미[棹尾]~도미찬[陶眉攢]~도방[都房] (0) | 2015.04.24 |
도무[兜鍪]~도문오주류[陶門五株柳]~도문유대작[屠門猶大嚼] (0) | 2015.04.23 |
도림선사[道林禪師]~도망시[悼亡詩]~도목정사[都目政事] (0) | 201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