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도보[道甫] 이광사(李匡師)의 자이다. 이광사는 영조 시절 손꼽히던 서예가로서 자기 호()를 딴 원교체(圓嶠體)라는 독특한 서체(書體)를 남겼다. <東國文獻 筆苑編>

도복여면과[陶復如綿瓜] 시경(詩經) 대아 면(綿)외가 달려 저만큼 컸네. ……흙을 구워 흙집 짓고.[綿綿瓜瓞…… 陶復陶穴]”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나라 고공단보(古公亶父)가 처음 나라를 창업할 때는 저렇게 한미하게 살았지만, 뒤에 후손인 문왕(文王)이 천명(天命)을 받았다는 뜻으로, 지금은 비록 한미하게 살지만 후손이 현달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도본준[屠本畯] 명 나라 문신이다. 자는 전숙(田叔), 자호를 감선생(憨先生). 저서에 태상전록(太常典錄전숙시초(田叔詩草)가 있다.

도부[到付] 관찰사가 수령의 장보(狀報)에 답하는 문서를 말한다.

도부[桃符] 옛날 새해 아침에 두 개의 복숭아나무 판에다 신도(神荼)와 울루(鬱壘)의 두 귀신 이름을 써서 문 옆에 걸어 둠으로써 사기(邪氣)를 막았던 풍속을 말한다. 이후 춘첩(春帖)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本草 桃符>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