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팔가[八家]  당송팔가(唐宋八家)를 말한다.

팔개[八凱]  개(凱)는 화(和)의 뜻으로,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인 창서(蒼舒)·퇴애(隤敱)·도인(檮戭)·대림(大臨)·방강(尨降)·정견(庭堅)·중용(仲容)·숙달(叔達)을 말한다.

팔결문[八結文]  세금을 걷을 적에 팔결(八結)을 단위로 한 사람씩 정하여 세금 수납을 맡기는 데, 이 사람이 결내(結內)의 사람들의 문서를 모아놓은 것을 가리키는 말임. 즉 문의(文義)가 없는 글이라는 뜻이다.

팔계[八溪]  초계(草溪)의 고호이다.

팔고[八苦]  중생(衆生)들이 받는 8종의 고통. 생고(生苦)·노고(老苦)·병고(病苦)·애별리고(愛別離苦)·원증회고(怨憎會苦)·구부득고(求不得苦)·오음성고(五陰盛苦).

팔공[八公]  왕일(王逸)의 초은사서(招隱士序)에 “옛날에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박아(博雅)하고 호고(好古)하니, 팔공(八公)의 무리가 모두 그 덕을 흠모하고 그 인(仁)에 귀의(歸依)하였다.”라고 하였는데 팔공은 좌오(左吳)·이상(李尙)·소비(蘇飛)·전유(田由)·모피(毛披)·뇌피(雷被)·진창(晉昌)·오피(伍被)이다.

팔공초목진감시[八公草木盡堪猜]  팔공산은 안휘성(安徽省) 동남방에 있는 산 이름인데, 진 효무(晉孝武) 태원(太元) 8년(383)에 부견(苻堅)이 이 산의 초목을 보고 모두 진(晉) 나라의 군사로 의심하였다.

팔관[八關]  팔관재(八關齋)의 약칭. 부처를 받드는 자가 갖는 재로서 남조(南朝) 때에 성행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성행하였다.

팔관대회[八關大會]  고려 때 행해진 국가적 의식의 하나이다. 고려 태조는 불교를 신앙하는 동시에 팔관회, 연등회(燃燈會)와 같은 종래의 신인공락(神人共樂)적인 의식도 중시하여 이를 국가 제전(祭典)으로 삼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