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반응형
春眠[춘면] 봄 잠
- 白居易[백거이] -
枕低被暖身安穩[침저피난신안온] 낮은 베개 따슨 이불 몸이 안온하니
日照房門帳未開[일조방문장미개] 해가 방문 비추어도 휘장 걷지 못해
還有少年春氣味[환유소년춘기미] 게다가 어린 날에 맛보던 봄 기분이
時時暫到夢中來[시시잠도몽중래] 시시로 깜박할 새 꿈 속에 찾아드니
- 백거이[白居易] 당(唐)나라 때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조적(祖籍)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고,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년,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하남(河南)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정원(貞元) 16년(800)에 진사가 되어, 벼슬은 소주(蘇州)·항주(杭州)의 자사를 거쳐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에 지냈고,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치사(致仕)하였다. 향산(香山)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뜬 뒤 낙양(洛陽) 남쪽 향산의 비파봉(琵琶峰)에 묻혔다. 시호는 문(文)이다. 세상 사람들이 백부(白傅) 또는 백문공(白文公)으로 불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세 때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한다.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더불어 당대3대시인(唐代三大詩人)으로,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원진(元稹)과는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이끌어 원백(元白)으로, 유우석(劉禹錫)과는 유백(劉白)으로 병칭되며 당시 으뜸으로 쳤다. 백거이는 시의 제재가 광범위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언어가 평이하고 통속적이어서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 등의 칭호를 얻었다. 그는 시론을 통해 자신의 시작의 첫째 목적은 겸제(兼濟)의 뜻을 살린 풍유(諷諭)에 있다고 현실주의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고, 스스로 자신의 시집을 편집하면서 시를 풍유시(諷諭詩), 한적시(閑寂詩), 감상시(感傷詩), 잡률(雜律詩)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만년에는 세상일에 대하여 고민하고 방황한 끝에 한적을 좋아하는 태도로 발전한다. 저서에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백씨육첩사류(白氏六帖事類) 등이 전한다. 장한가(長恨歌), 매탄옹(賣炭翁), 비파행(琵琶行) 등을 대표적인 시로 꼽는다.
- 환유[還有] 그리고. 또한. 그리고 나서. 게다가.
- 춘기[春氣] 봄기운. 봄을 느끼게 해 주는 기운.
- 기미[氣味] 냄새와 맛을 아울러 이르는 말. 마음과 취미(趣味). 일이 되거나 안 되는 모양(模樣)
반응형
'한시[漢詩]산책 > 한시 봄봄[春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下獨酌四首[其二]월하독작4수2 / 달 빛 아래 홀로 술을 따르다 / 李白이백 (0) | 2021.05.05 |
---|---|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 사월 초하루 / 鄭道傳정도전 (0) | 2020.08.13 |
春日춘일 / 꿈결처럼 가는 봄날 /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0) | 2020.08.13 |
示子芳시자방 / 자방에게 보이다 / 林億齡임억령 (0) | 2020.08.13 |
九曜堂구요당 / 온종일 산 벌들만 / 李齊賢이제현 (0) | 2020.08.13 |
田家전가 / 농가 / 李用休이용휴 (0) | 2020.08.13 |
人日立春인일입춘 / 인일에 든 입춘 / 侯彭老후팽로 (0) | 2020.08.12 |
夜下征虜亭야하정로정 / 밤에 정로정 아래를 지나다 / 李白이백 (0) | 2020.08.12 |
春思二首춘사2수 / 봄날은 한만 키우네 / 賈至가지 (0) | 2020.08.11 |
看山간산 / 산을 구경하다 / 金炳淵김병연 (0)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