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人日立春[인일입춘] 인일에 든 입춘
- 侯彭老[후팽로] -
朝來煮菜往鞭牛[조래자채왕편우] 아침에 나물 먹고 소를 몰아가니
已覺江邊雪意休[이각강변설의휴] 어느덧 강변에는 눈의 자취 슬고
習習東風收雨脚[습습동풍수우각] 온화한 동풍 산들 빗발 거둬가니
暄暄曉日綻雲頭[훤훤효일탄운두] 따사한 밝은 해 구름 틈에 내미네
尊前未放梅花老[준전미방매화로] 술동이 앞 피다 만 매화 시드는데
鬢上先看柳帶柔[빈상선간류대유] 언듯 머리 위 버들가지 한들한들
及取春花時一醉[급취춘화시일취] 봄꽃 피는 시절 맞추어 취하노니
莫教沈瘦更清秋[막교침수경청추] 침울하고 수척한 가을들게 마시라
<人日立春인일입춘 / 인일에 든 입춘 / 侯彭老후팽로>
※ 출처 :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전집(前集) 권(卷)6 인일입춘(人日立春)
❍ 후팽로[侯彭老] 송(宋)나라 원우(元祐) 연간의 문인(文人). 자(字)는 사유(思孺)이고, 호(号)는 성옹(醒翁)이다. 남송(南宋) 형산(衡山: 지금의 湖南省호남성) 사람이다.
❍ 인일[人日] 음력 정월 초이렛날의 별칭이다. 이날 일곱 가지 나물로 국을 끓여 먹고, 사람 모양의 각종 장식물을 만들어 병풍에 붙이는 등의 풍습이 있었다. 1월 1일부터 6일까지 각각 차례로 닭, 개, 양, 돼지, 소, 말을 점치고 나서, 7일에 사람을 점치고 8일에 곡식을 점치는데, 기후가 청명(晴明)하고 온화하면 번식(繁殖)과 안태(安泰)를 미리 알 수 있고, 기후가 음한(陰寒)하고 참렬(慘烈)하면 질병(疾病)과 쇠모(衰耗)를 미리 알 수 있다는 내용이 동방삭(東方朔)의 점서(占書)에 있었다고 한다. <事物紀原 卷1 天地生植部 人日>
❍ 입춘[立春] 24절기의 첫째이다.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2월 4일이나 5일이 된다. 이때부터 봄이 시작(始作)된다는 뜻이다.
❍ 설의[雪意] 눈이 내릴 듯한 하늘모양. 눈이 올 듯한 하늘의 모양.
❍ 습습[習習] 온화하게 바람이 부는 모양. 사늘한 바람이 가볍고 보드랍게 잇달아 붊. 바람이 살랑거리는 모양. 왕성한 모양. 떼를 지어 나는 모양. 바람이 산들산들하다.
❍ 우각[雨脚] 빗발. 비가 내리칠 때에 줄이 죽죽 진 것처럼 떨어지는 빗줄기. 줄이 진 것처럼 굵고 세차게 내리치는 빗방울.
❍ 유대[柳帶] 버들 띠. 버들가지를 가리킨다. 가늘고 긴 것이 마치 띠 같기 때문에 버들가지를 ‘유대(柳帶)’라고 한다.
❍ 막교[莫教] 〜로 하여금 〜말라.
❍ 청추[清秋] 가을. 늦가을. 맑은 가을. 서늘한 가을.
'한시[漢詩]산책 > 한시 봄봄[春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 사월 초하루 / 鄭道傳정도전 (0) | 2020.08.13 |
---|---|
春日춘일 / 꿈결처럼 가는 봄날 /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0) | 2020.08.13 |
示子芳시자방 / 자방에게 보이다 / 林億齡임억령 (0) | 2020.08.13 |
九曜堂구요당 / 온종일 산 벌들만 / 李齊賢이제현 (0) | 2020.08.13 |
田家전가 / 농가 / 李用休이용휴 (0) | 2020.08.13 |
夜下征虜亭야하정로정 / 밤에 정로정 아래를 지나다 / 李白이백 (0) | 2020.08.12 |
春思二首춘사2수 / 봄날은 한만 키우네 / 賈至가지 (0) | 2020.08.11 |
看山간산 / 산을 구경하다 / 金炳淵김병연 (0) | 2020.08.08 |
賞景상경 / 경치감상 / 金炳淵김병연 (0) | 2020.08.08 |
洛花吟낙화음 / 떨어진 꽃을 읊다 / 金炳淵김병연 (0)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