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차제[次第] 차례로.
❏ 차주[借籌] 차저(借箸)와 같은 말로, 모신(謀臣)이 작전 계획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고조(高祖)에게 “앞에 있는 젓가락을 잠깐 빌려서 대왕을 위해 계책을 설명드리겠다.[臣請借前箸爲大王籌之]”고 한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漢書 張良傳>
❏ 차진[借津] 차진은 인재를 등용하는 것을 뜻하는데, 고려 태조(高麗太祖)의 훈요십조(訓要十條) 가운데 “차현 이남과 공주(公州)의 강 밖은 산형(山形)과 지세(地勢)가 모두 배역(背逆)의 상이니, 그 지역 사람은 등용하지 말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 차차[次次] 일이 잘 진척되지 않아 불안한 모양 , 어떤 일이 조금씩 순서대로 되어가는 상태, 점점.
❏ 차차[嗟嗟] 탄식하며 슬퍼하는 소리, 거듭 감탄하며 칭찬하는 소리, 바닷속 괴물의 울음 소리.
❏ 차차[㤞㤞] 정하지 못한 모양.
❏ 차창주[車滄洲] 창주는 차운로(車雲輅)의 호이다.
❏ 차천로[車天輅] 조선 시대의 문인으로 호는 오산(五山),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그는 문명이 명 나라에까지 떨쳐 동방문사(東方文士)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특히 한시에 뛰어나 한 호(韓濩)의 글씨, 최입(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 삼절(松都三絶)이 라 일컬어졌다. 저서에 오산집(五山集)·오산설림(五山說林)이 있다.
❏ 차풍례[遮風禮] 주객이 함께 음식을 먹던 자리에서 객이 소마보러 나갔다가 돌아오면 주인이 ‘바람을 막은 벌’이라는 뜻으로 음식을 권함에 따라 객이 음식을 먹는 것을 차풍례라 하고, 이때 드는 술잔을 차풍배(遮風杯)라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편[著鞭]~착혼돈규[鑿混沌竅]~착화[着花]~찬계취옥[爨桂炊玉] (0) | 2020.10.30 |
---|---|
착안배[鑿顔坏]~착월선후[捉月獮猴]~착정경전[鑿井耕田]~착처가[着處家] (0) | 2020.10.30 |
착배은[鑿坏隱]~착벽인광[鑿壁引光]~착비영인[斲鼻郢人]~착악비[斲堊鼻] (0) | 2020.10.30 |
착륜[斲輪]~착륜감환[斲輪感桓]~착만비[斲墁鼻]~착문[鑿門]~착반[錯盤] (0) | 2020.10.30 |
차형[車螢]~차호[鹺戶]~착곡[錯穀]~착곡음[鑿谷吟]~착규번신공[鑿竅煩神功] (0) | 2020.10.30 |
차재두량[車載斗量]~차저[借箸]~차저기주[借筯奇籌]~차저한장량[借筯漢張良] (0) | 2020.10.29 |
차안당시[遮眼唐詩]~차엽사[遮葉事]~차윤[車胤]~차율[次律] (0) | 2020.10.29 |
차사[差使]~차서환서구일치[借書還書俱一癡]~차수국[遮須國]~차승[借乘] (0) | 2020.10.29 |
차막[遮莫]~차보[䑡䑰]~차복배중록[且覆杯中淥]~차비[佽飛]~차비인[佽飛刃] (0) | 2020.10.29 |
차녀[姹女]~차대[次對]~차대질[嗟大耋]~차래불식[嗟來不食]~차리야[遮梨夜] (0) |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