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질어[叱馭] 마부를 다그쳐 말을 빨리 몰게 한다는 뜻으로 국은(國恩)에 보답하기 위해 험한 길도 주저하지 않고 내닫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왕양(王陽)이 익주자사(益州刺史)로 부임할 때 험난한 사천성(四川省) 공래산(邛郲山)의 구절판(九折阪)을 넘으면서 혹시 몸을 상해 어버이에게 누를 끼칠까 염려하여 그냥 돌아왔는데, 뒤에 왕존(王尊)이 같은 일로 이 고개를 넘으면서 마부를 꾸짖어[叱馭] 말하기를 “왕양(王陽)은 효자라서 자기 몸을 아꼈지만, 나는 충신이니 말을 빨리 몰아라.”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王尊傳>
❏ 질어경험조[叱馭經險阻] 한(漢)나라 왕량(王良)이 익주 자사(刺史)로 가다가 검각산(釰閣山) 험한 곳에 이르러 말을 돌리며 “어찌 부모의 끼쳐 준 몸으로 이 험한 곳을 지나랴.”라고 하였다. 그 뒤에 왕존(王尊)이 익주 자사로 가다가 그 곳에 이르자 어자(御者)가 말하기를 “여기가 왕량이 말을 돌린 곳이요.” 하니, 왕존이 어자를 꾸짖으며 “왕량은 부모를 위한 효자(孝子)가 되었는데, 왕존은 나라를 위한 충신(忠臣)이 될 수 없으랴.”라 하고, 그 곳을 통과하여 부임(赴任)하였다.
❏ 질어공판로[叱馭邛阪路] 한(漢) 나라 왕존(王尊)이 익주 자사(益州刺史)에 임명되어 험하기로 유명한 공래(邛郲) 구절판(九折阪)을 지나갈 때, 마부를 꾸짖으며[叱馭] “옛날 왕양(王陽)은 효자라서 주저했지만, 나는 충신이니 빨리 말을 몰아라.”라고 했던 고사가 전한다. <漢書 卷76 王尊傳>
❏ 질어심[叱馭心] 충신의 마음을 말한다. 국은(國恩)에 보답하기 위해 험한 길도 주저하지 않고 내닫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왕양(王陽)이 험난한 구절판(九折阪)을 넘으면서 혹시 몸을 상해 어버이에게 누를 끼칠까 염려하여 그냥 돌아왔는데, 뒤에 왕존(王尊)이 이 고개를 넘으면서 마부를 꾸짖어[叱馭] 말하기를 “빨리 몰아라. 왕양은 효자요, 왕존은 충신이니라.”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王尊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징강여련[澄江如練]~징갱취제[懲羹吹虀]~징경[徵鏡]~징과사[徵瓜事]~징군[徵君] (0) | 2020.10.28 |
---|---|
집중우훈[執中虞訓]~집집[湒湒]~집파하이위의[緝破荷而爲衣]~집편[執鞭]~집편지사[執鞭之士] (0) | 2020.10.27 |
집낭작유[集囊作帷]~집불[執紼]~집양[執壤]~집우이[執牛耳]~집이[執耳] (0) | 2020.10.27 |
집간[執簡]~집고사[集古辭]~집구시[縶駒詩]~집규[執珪]~집금오[執金吾] (0) | 2020.10.27 |
질전[疾顚]~질지불난착[郅支不難斮]~질축배척[嫉逐排斥]~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0) | 2020.10.27 |
질도[郅都]~질발[叱撥]~질석기[叱石起]~질석제형[叱石弟兄]~질성[質性] (0) | 2020.10.26 |
진후유비[陳后幽悲]~진훤[陳暄]~진희[陳狶]~질곡[桎梏]~질관상[垤鸛翔] (0) | 2020.10.26 |
진황[秦黃]~진회[秦灰]~진효공[秦孝公]~진효부[陳孝婦] (0) | 2020.10.26 |
진혜왕[秦惠王]~진홍[眞紅]~진홍멱부처[眞汞覓夫妻]~진화[秦火]~진화[陳澕] (0) | 2020.10.26 |
진함불출가[陳咸不出家]~진현[陳玄]~진현관[進賢冠]~진현례[陳玄禮]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