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진량[陳良] 진량은 전국 시대 문명이 미개한 초 나라 태생이었으나, 주공(周公)·중니(仲尼)의 도를 좋아하여 북으로 중국(中國)에 가서 유학하였는데, 중국의 선비들이 그보다 나은 이가 없을 정도로 대유(大儒)가 되었다. <孟子 滕文公上>
❏ 진량[秦梁] 진시황(秦始皇)이 해 뜨는 곳을 보기 위하여 만들었다고 하는 돌다리를 가리킨다. 진시황(秦始皇)이 해 돋는 곳을 보고자 하여 돌다리를 놓으려고 하였는데, 해신(海神)이 나타나서 다리 기둥을 세워 주었다. 진시황(秦始皇)이 이를 고맙게 여겨 만나 보려고 하니, 해신이 말하기를 “내 모습이 추하니 내 모습을 그리지 않기로 약속한다면 만나겠다.” 하였다. 이에 진시황(秦始皇)이 들어가 해신과 만났는데, 좌우에 있던 사람들이 몰래 해신의 발을 그렸다. 그러자 해신이 성을 내면서 빨리 나가라고 하여 진시황(秦始皇)이 말을 타고 곧장 나왔는데, 말 뒷다리가 석교에서 미처 떨어지기도 전에 석교가 무너졌다. <藝文類聚 卷79>
❏ 진령사[榛苓思] 시경 패풍 간혜(簡兮)의 “산에는 개암나무 진펄엔 감초, 그 누가 그리운가 서쪽의 미인이로세[山有榛 隰有苓 云誰之思 西方美人]”에서 나온 것으로, 저물어가는 때에 서울에 계신 임금이 한결 더 그립다는 것이다.
❏ 진로[振鷺] 시경(詩經)에 진로(振鷺)편이 있는데, 그것은 주(周)나라 종묘(宗廟)의 제사에 하(夏)나라의 후손과 상(商)의 후손이 와서 참예하였으므로, 그것이 마치 깨끗한 해오리가 다른 곳에서 날아오는 것과 같다 하였다.
❏ 진로장[塵勞障] 불가의 말로 번뇌가 앞길을 막고 있는 것. <金剛經 註주>
❏ 진뢰[陳雷] 동한(東漢)의 뇌의(雷義)와 진중(陳重)의 병칭(幷稱)이다. 뇌의와 진중은 같은 고향 사람으로 두 사람은 우의가 돈독하여 고향 사람들이 이들 둘을 보고는 “아교풀이 스스로 잘 붙는다 말하지만 뇌의와 진중만은 못하리라.” 하였는데, 후대에는 이를 인해서 교의(交誼)가 아주 깊은 친구 사이를 이르게 되었다. <後漢書 卷八十一 篤行傳>
❏ 진뢰[陳雷] 한(漢) 나라 진중(陳重)이 한 고을에 사는 뇌의(雷義)와 친하게 지내었는데, 뇌의가 무재(茂才)에 천거되자 진중에게 양여(讓與)하니, 자사(刺史)가 듣지 아니 하였다. 뇌의는 진중을 위하여 거짓 미쳐 도망해 숨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무[眞武]~진문[晉門]~진물[鎭物]~진번일탑[陳蕃一榻]~진번하탑[陳蕃下榻] (0) | 2020.10.19 |
---|---|
진목[瞋目]~진목공[秦穆公]~진목루[秦穆樓]~진목창창계우개[震木蒼蒼桂又開] (0) | 2020.10.19 |
진마표륜[陣馬飆輪]~진망[塵網]~진망[蓁莽]~진맹투할[陳孟投轄] (0) | 2020.10.19 |
진류은[陳留隱]~진리[津吏]~진린[陳璘]~진림[陳琳]~진림[陳臨] (0) | 2020.10.19 |
진루[秦樓]~진루객[秦樓客]~진루월[秦樓月]~진루취봉[秦樓吹鳳] (0) | 2020.10.19 |
진단[陳摶]~진단[震旦]~진대난봉성[秦臺鸞鳳聲]~진동[秦童]~진락선옹[眞樂禪翁] (0) | 2020.10.19 |
진근[塵根]~진기[眞機]~진남[秦男]~진녀학소[秦女學簫]~진뇌[陳雷] (0) | 2020.10.16 |
진구[秦篝]~진군[眞君]~진궁록위마[秦宮鹿爲馬]~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0) | 2020.10.16 |
진관[眞官]~진관[秦觀]~진교봉왕[陳橋奉王]~진교편석[秦橋鞭石] (0) | 2020.10.16 |
진계유[陳繼儒]~진고[眞誥]~진공[眞空]~진공차락장송고[陳公差樂張竦苦]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