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山石[산석] 산의 돌

 

- 韓愈[한유] -

 

山石犖确行徑微[산석낙학행경미] 산의 돌은 울묵줄묵 길은 좁은데

黃昏到寺蝙蝠飛[황혼도사편복비] 저물어 다다른 절엔 박쥐가 나네

升堂坐階新雨足[승당좌계신우족] 법당 섬돌에 앉자마자 비 내리어

芭蕉葉大梔子肥[파초엽대치자비] 파초잎 펴지고 치자꽃 살이 찌네

僧言古壁佛畫好[승언고벽불화호] 스님은 묵은 벽 불화를 자랑하나

以火來照所見稀[이화내조소견희] 등불로 비춰보니 그저 희뿌열 뿐

鋪牀拂席置羹飯[포상불석치갱반] 자리를 정리하고 밥과 국 차리니

疏糲亦足飽我飢[소려역족포아기] 간소한 식사 허기 채움 넉넉하네

夜深靜臥百蟲絶[야심정와백충절] 밤이 깊어 누우니 벌레소리 멎고

淸月出嶺光入扉[청월출령광입비] 봉우리의 맑은 달 삽짝에 스미네

天明獨去無道路[천명독거무도로] 날 밝아 나서니 길을 알 수 없어

出入高下窮煙霏[출입고하궁연비] 안개속을 드나들며 오르락내리락

山紅澗碧紛爛漫[산홍간벽분난만] 푸른 시내 붉은 산꽃 흐드러녹고

時見松櫪皆十圍[시현송력개십위] 눈길마다 솔 참나무 열 아름드리

當流赤足蹋澗石[당류적족답간석] 여울 만나 맨발로 냇돌 밟아가니

水聲激激風生衣[수성격격풍생의] 물소리 콸콸 옷자락에 이는 바람

人生如此自可樂[인생여차자가락] 인생은 이처럼 즐겨야 하는 것을

豈必局束爲人鞿[개필국속위인기] 어찌하여 남에게 얽매 구속 받나

嗟哉吾黨二三子[차재오당이삼자] 애달프다 이 자리에 나의 친구들

安得至老不更歸[안득지로불갱귀] 어찌 다 늙도록 돌아가지 못하나

 


[犖确] 산에 바위가 많음. 산이 험한 모양. 산의 바위들이 험준하고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한 모양이다.

[犖確] 바위가 많고 험하다. 바윗길이 험준하고 평평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바위가 삐죽삐죽 솟아 있는 것을 가리킨다.

행경미[行徑微] 길이 좁은 것을 이른다.

편복[蝙蝠] 박쥐.

승당[升堂] 절에 있는 큰방으로 들어가는 것을 가리킨다.

신우[新雨] 방금 내린 비를 가리킨다.

파초[芭蕉] 다년생 식물로 잎이 넓고 흰 꽃이 핀다. 바나나와 비슷한 열매를 맺지만 먹을 수 없다.

치자[梔子] 상록관목으로 여름철에 흰 꽃이 피는데 향기가 진하다.

치갱반[置羹飯] 국과 밥, 즉 식탁을 차리는 것을 가리킨다.

소려[疏糲] 거친 현미밥. 간단하게 차려낸 밥을 가리키기도 한다.

궁연비[窮煙霏] 운무(雲霧)가 자욱한 산길을 두루 다녔다는 의미이다.

연비[烟霏] 연무(烟霧)와 구름을 통틀어 가리킨다. 왕수인(王守仁)은 등태산(登泰山 : 登岳등악)이란 시에서 새벽에 길을 나서 태산에 오르는데, 걸음마다 연무 속이라 나아갈 수 없었네[曉登泰山道 行行入烟霏]”라고 읊었다.

산홍간벽[山紅澗碧] 산에 핀 꽃은 붉고 계곡을 흐르는 시내는 푸른 것을 가리킨다.

난만[爛漫] 햇볕이 사방에서 내려쬐어 색채가 현란한 모습이다. 광채가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초목이 무성한 것을 이르기도 한다.

시견[時見] 항상 보다. 때때로 보다. 이백(李白)은 방대천산도사부우(訪戴天山道士不遇)란 시에서 숲이 깊어지면서 사슴들이 보이고, 한낮인데 계곡에 종소리도 안 들리네[樹深時見鹿 溪午不聞鐘]”라고 읊었다.

[] 상수리나무. 낙엽교목이다.

십위[十圍] 나무의 크기가 대단히 큰 것을 가리킨다. ‘는 두 팔로 껴안아 한 아름이 되는 굵기를 가리킨다.

당류[當流] 흘러가는 물을 마주한 것을 가리킨다.

간석[澗石] 깊은 산골짜기를 흐르는 맑은 시냇물 속에 잠긴 돌 또는 바위. 선가(禪家)에서는 자부심이 강하고 오만한 선비가 이러쿵저러쿵 떠드는 것을 비웃는 말로 사용한다.

냇돌 : 오랜 시간 냇바닥이나 냇가에 있으면서 물에 씻기기도 하고 다듬어지기도 한 돌.

격격[激激] 급하게 흐르는 소리를 가리키는 의성어이다.

[] ‘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자가[自可] 본래부터 할 수 있다. 마땅히 할 수 있다.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기필[豈必] 하필(何必). ~할 필요 없다.

국속[局束] 구속(拘束). 구속받는다는 뜻이다. ‘局促(국촉)’이라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재갈. 고삐. 굴레. 얽매이다. 사람을 견제하거나 속박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차재[嗟哉] 탄식하는 소리, !

안득[安得] 어떻게 얻을 수 있겠는가? 어디에서을 얻으랴. (반문의 뜻으로) 어찌 일 수 있으랴. 어떻게 할 수 있으랴.

오당이삼자[吾黨二三子] 자신과 지취(志趣)가 서로 들어맞는 친구들. 자기와 뜻이 맞는 친구 몇 명을 가리킨다.

이삼자[二三子] 스승이 제자를 부를 때, 또 임금이 신하를 부를 때 쓰는 말. 단 한 사람이 아니라 두세 사람을 부를 때에 씀.

랑시[女郞詩] 여랑(女郞)의 시란 곧 여인같이 온순한 풍의 시를 뜻한다. ()나라 때 시인인 원호문(元好文)의 논시절구(論詩絶句)()나라 진관(秦觀)의 시에 정이 있는 작약은 봄 눈물을 머금었고 기력 없는 장미는 저녁 가지에 누웠다.’라고 하였는데, 한퇴지의 산석(山石)시를 뽑아내니, 이것이 여랑의 시임을 비로소 알겠다[有情芍藥含春淚 無力薔薇臥晩枝 拈出退之山石句 始知渠女郞詩]”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송나라 진관(秦觀)의 시를 한퇴지의 산석(山石) 시와 비교해 보면 한퇴지의 시는 장부에 해당하고, 진관의 시는 여랑에 해당한다는 말이다. <韓昌黎集 卷3>

 

한퇴지(韓退之)의 칠언시(七言詩)에 영사금(穎師琴)과 치대전(雉帶箭) 같은 부류는, 공교하게 다듬어지고 정밀하게 닦여져서 조금도 유감이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공력을 들이지 않고 자연적으로 이뤄진 것은 오직 산석(山石) 한 편뿐이다. 이 시는 처음부터 끝까지 마치 산행일기(山行日記)처럼 만나는 바에 따라 써낸 것인데, 필력이 웅혼(雄渾)해서 결함이나 수식한 흔적이 보이지 않으니, 오직 능한 자만이 할 수 있을 뿐, 배워서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뒤에 와서 원()나라 원호문(元好問)이 이 뜻을 알고서 한퇴지의 산석 글귀를 뽑아 내보니 그것이 바로 여랑의 시란 것을 이제 알겠네.[拈出退之山石句 始知渠是女郞詩]”라고 하였으니, 모두 아는 말이라 하겠다.[退之七言詩 如穎師琴雉帶箭之類 巧追精琢斤斧 無憾然 其不犯手勢陶鑄自成者 其有山石一篇 自頭至終 只如山行日記 隨遇寫出 而筆力雄渾 不見罅縫 惟能者能之 而不可學得也 後來元之元好問 知此意曰 拈出退之山石句 始知渠是女郞詩 盖知言矣] <星湖僿說 卷29 詩文門·退之山石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