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위문[尉文] 실전 되었지만 읍 이름이라는 설과 사람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위문이라는 고을에 봉했다는 설과 위문(尉文)이라는 사람의 봉읍을 염파에 주었다는 설이다.
❏ 위문[䦱門] 침문(寢門)을 반쯤만 여는 것을 이른다. 춘추 시대 노(魯) 나라 공보문백(公父文伯)의 어머니는 계강자(季康子)의 종조숙모(從祖叔母)였는데, 계강자가 찾아가면 그녀가 침문을 반쯤만 열고서 그와 얘기를 나누고 서로 문턱을 넘지 않았던 데서 온 말로, 남녀간의 분별이 엄절했음을 의미한다. <國語 魯語>
❏ 위문후[魏文侯]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445년에 즉위하여 396년에 죽은 위나라 군주로 이름은 사(斯)다. 기원전 445년에 즉위해서 49년 간 재위했다. 복자하(卜子夏), 전자방(田子方), 단간목(段干木) 등에게서 사사했으며 현인과 재사들을 초빙하여 기용했다. 그의 치세 기간 중 이룩한 업적은 다음과 같다. ① 오자병법으로 유명한 오기(吳起)를 기용하여 황하 이서와 낙수 이동의 땅을 점령하고 하서군을 설치 진나라의 서진을 막았다. ② 악양(樂陽)을 기용하여 조나라 영토 너머 있던 중산국(中山國)을 정벌하여 위나라령으로 했다. ③ 서문표(西門豹)를 업(鄴)의 태수로 임명하여 하백을 팔아 백성들의 고혈을 빨고 있던 무당과 관리들을 치죄하여 미신을 타파했다. 서문표가 백성들을 잘 다스려 그 땅에 대규모의 관개시설을 건설하자 농산물의 생산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업 땅에 치세가 오도록 했다. ④ 이극(李克)을 재상으로 임명하여 구습을 타파하고 개혁을 단행했다. 이극이 시행한 주요 정책으로써 ① 진지력지교(盡地力之敎)라는 제도를 시행하여 토지생산력을 제고시켰다. 진지력지교란 토지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규정이다. ② 법경(法經)을 제정하여 시행함으로 해서 백성들은 법의 보호를 받고 생업에 열중할 수 있게 되었다. ③ 평적법(平糴法)을 시행하여 물가의 안정을 꾀해 경제를 발전시켰다. 평적법이라는 풍년이 들 때 국가가 사들였다가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들에게 싼 값으로 공급하는 제도다. ④ 귀족들의 특권이 세습되는 것을 폐지하고 ‘ 식유로(食有勞), 록유공(祿有功), 상유현(賞有賢), 벌필당(罰必當)’ 정책을 단행했다. 즉 ‘ 일하는 자에게만 먹을 것을 주고, 공을 세운자에게만 봉급을 주며, 능력이 있는 자에게만 상을 내리고,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을 준다.’라는 뜻이다. ⑤ 무졸제(武卒制)를 시행하여 상비군(常備軍)을 창설하여 여러 번에 걸쳐 진나라 군사를 격파하고 진나라 령의 서하를 점령하여 그 땅에 서하군(西河郡)과 상군(上郡)을 설치했다.
❏ 위미[危微]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을 말한다.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의 “인심은 오직 위태롭고 도심은 오직 은미하니, 오직 정하고 전일하여야 진실로 그 중도를 얻는다.[人心惟危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위미정일[危微精一] 순(舜)이 우(禹)에게 왕위를 전해 줄 때에 경계하기를 “인심(人心)은 위태롭고[危] 도심(道心)은 미묘[微]하니, 정일(精一)히 하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수강운[渭樹江雲]~위시[衛詩]~위씨경[韋氏鏡] (0) | 2020.06.23 |
---|---|
위성우가[渭城雨歌]~위성춘[渭城春]~위소랑[緯蕭郞]~위쇄[餧殺] (0) | 2020.06.22 |
위선생[衛先生]~위선최락[爲善最樂]~위성곡[渭城曲]~위성삼첩[渭城三疊] (0) | 2020.06.19 |
위산휴재궤[爲山虧在簣]~위상[魏尙]~위서[魏書]~위석[熨石] (0) | 2020.06.18 |
위백양[魏伯陽]~위부불인[爲富不仁]~위비언고[位卑言高] (0) | 2020.06.17 |
위매피의[魏妹被劓]~위명제[魏明帝]~위묘천죽[渭畝千竹] (0) | 2020.06.15 |
위능가호[威能假虎]~위도질어[危途叱馭]~위려마도[爲礪磨刀] (0) | 2020.06.12 |
위기[爲己]~위기일발[危機一髮]~위기지학[爲己之學]~위기후[魏其侯] (0) | 2020.06.11 |
위교[渭橋]~위구식복[委裘植腹]~위국승헌[衛國乘軒]~위궐[魏闕] (0) | 2020.06.10 |
위곡[韋曲]~위공[魏公]~위공녹학[衛公祿鶴]~위곽지훈[衛霍之勛] (0) |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