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인의덕성의 존중과 논리는 쓸 데 없다
- 장자(외편):제8편 변무[1]-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이 붙어버린 변무나 손가락이 여섯인 육손이는 자연에서 나온 것이지만 정상적인 인간의 본성에서 보면 군더더기이다. 사마귀나 늘어진 혹은 몸에서 나왔지만 인간의 본성에서 보면 군더더기이다. 인의를 너무 중시하고 그것을 주장하는 사람은 그것이 오장에 딸려 있는 것이라 해도 도덕의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발가락이 달라붙는 것은 쓸데없는 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손에 손가락이 하나 더 있는 것은 쓸데없는 손가락이 하나 더 붙어 있는 것이다.
오장의 진실한 기능에 쓸데없는 것을 덧붙여서 존중하는 사람들은 인의의 행위에 지나치게 치우치려고, 밝은 귀와 밝은 눈의 사용을 너무 존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눈밝음이 너무 지나친 사람은 오색에 혼란을 일으키고 아름다운 무늬에 빠져, 파란색, 노란색과 무늬의 화려함을 만드는 것이다. 이주 같은 사람이 그 예이다.
귀밝음이 지나친 사람은 오성(五聲)에 혼란을 일으키고 육률(六律)에 빠져, 쇠나 돌과 실과 대로 만든 악기와 황종과 대여와 같은 음악을 만드는 것이다. 사광 같은 사람이 그 예이다.
인(仁)을 쓸데없이 중시하는 사람은 덕을 빼내고 본성을 뽑아내며 세상사람들에게 따를 수 없는 법도를 받들라고 부추기는 것이다. 증삼과 사추 같은 사람이 그 예이다.
변설을 중시하는 사람은 탄알을 쌓아놓고 새끼줄로 묶으려는 것처럼 말귀를 따지려 들고, 궤변에 마음을 쓰며 애써 쓸데없는 말을 기리는 것이다. 양자나 묵자 같은 사람이 그 예이다.
그러므로 이런 것은 모두가 쓸데없는 것을 존중하고 소용없이 덧붙은 것을 존중하는 도이며, 천하의 지극한 올바른 도는 아닌 것이다.
- 莊子(外篇):第8篇 騈拇[1]-
騈拇枝指, 出乎性哉! 而侈於德. 附贅縣疣, 出乎形哉! 而侈於性. 多方乎仁義而用之者, 列於五藏哉! 而非道德之正也. 是故騈於足者, 連無用之肉也. 枝於手者, 樹無用之指也. 騈枝於五藏之情者, 淫僻於仁義之行, 而多方於聰明之用也.
是故騈於明者, 亂五色, 淫文章, 靑黃黼黻之煌煌非乎? 而離朱是已. 多於聰者, 亂五聲, 淫六律, 金石絲竹黃鐘大呂之聲非乎? 而師曠是已. 枝於仁者, 擢德塞性以收名聲, 使天下簧鼓以奉不及之法非乎? 而曾史是已. 騈於辯者, 累瓦結繩竄句, 遊心於堅白同異之閒, 而敝跬譽無用之言非乎? 而楊墨是已. 故此皆多騈旁枝之道, 非天下至至正也.
'옛글[古典]산책 >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성대로 소박하게 자연 속에 살아야 한다/장자/마제/ (0) | 2020.05.01 |
---|---|
자연에 맡겨 되는 대로 내버려두어라/장자/마제/ (0) | 2020.04.30 |
모든 인위적인 것은 훌륭한 것이 못 된다/장자/변무/ (0) | 2020.04.30 |
인위적인 행위는 모두 사람의 본성을 해친다/장자/변무/ (0) | 2020.04.30 |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장자/변무/ (0) | 2020.04.30 |
인위가 가해지면 자연은 죽는다/장자/응제왕/ (0) | 2020.04.29 |
마음 쓰기를 거울과 같이 해야 한다/장자/응제왕/ (1) | 2020.04.29 |
운명은 있으나 볼 수는 없는 것이다/장자/응제왕/ (0) | 2020.04.29 |
세상은 저절로 다스려지게 해야 한다/장자/응제왕/ (0) | 2020.04.28 |
사람은 편안히 생활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장자/응제왕/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