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자연에 맡겨 되는 대로 내버려두어라
- 장자(외편):제9편 마제[1]-
말은 발굽으로 서러와 눈을 밟고, 털로는 바람과 추위를 막고 있다. 풀을 뜯고 물을 마시며 발을 높이 들고 날뛴다. 이것이 말의 참된 본성이다. 비록 높은 누대와 궁궐이 있다 해도 말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다.
백락이 말을 잘 다스린다면서 말에게 낙인을 찍고, 털을 깎고, 발굽을 다듬고, 굴레를 씌우고, 고삐와 띠를 맨 다음 구유가 딸린 마구간을 짓고 넣어두었다. 그러자 말 중에 죽는 놈이 열 마리 중에 두세 마리가 나왔다. 거기에다 말을 굶주리게 하고, 목마르게 하고, 너무 뛰게도 하고, 갑자기 달리게도 하며, 여러 가지 장식을 붙여 보기 좋게 꾸며 주었다. 말의 앞에는 거추장스러운 재갈과 머리장식이 있게 되었고, 뒤에는 채찍의 위협이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자 죽는 말이 반도 넘게 되었다.
옹기장이는 찰흙을 잘 다룬다고 하면서 둥근 것은 그림쇠에 맞추고, 모난 것은 굽은 자에다 맞춘다. 목수는 나무를 잘 다룬다면서 굽은 것은 갈고리에다 맞추고 곧은 것은 먹줄을 따라 자른다. 그러나 찰흙과 나무의 성질이야 어찌 그림쇠나 굽은 자와 갈고리나 먹줄에 맞추려 들겠는가? 그런데도 세상에서는 대대로 백락은 말을 잘 다스리고, 옹기장이와 목수는 찰흙과 나무를 잘 다룬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것도 역시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들의 잘못인 것이다.
내 생각으로는 천하를 잘 다스리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백성들에게는 일정한 본성이 있다. 길쌈을 해서 옷을 지어 입고, 농사를 지어 밥을 먹는데 이것을 다 같이 타고난 성질이라고 한다. 하나가 되어 치우치지 않는 것을 하늘에 맡겨 되는 대로 두는 것이라 말한다.
- 莊子(外篇):第9篇 馬蹄[1]-
馬, 蹄可以踐霜雪, 毛可以禦風寒, 齕草飮水, 翹足而陸, 此馬之眞性也. 雖有義臺路寢無所用之. 及至伯樂, 曰:「我善治馬.」 燒之, 剔之, 刻之, 雒之, 連之以羈馽, 編之以皁棧, 馬之死者十二三矣. 飢之, 渴之, 馳之, 驟之, 整之, 齊之, 前有橛
飾之患, 而後有鞭筴之威, 而馬之死者已過半矣. 陶者曰:「我善治埴, 圓者中規, 方者中矩.」匠人曰:「我善治木, 曲者中鉤, 直者應繩.」夫埴木之性, 豈欲中規矩鉤繩哉? 然且世世稱之曰「伯樂善治馬, 而陶匠善治埴木」, 此亦治天下者之過也.
吾意善治天下者不然. 彼民有常性, 織而衣, 耕而食, 是謂同德. 一而不黨, 命曰天放.
'옛글[古典]산책 >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이 없어져야 도적도 없어진다/장자/거협/ (0) | 2020.05.02 |
---|---|
성인이란 큰 도적의 보호자에 불과하다/장자/거협/ (0) | 2020.05.01 |
방비가 역으로 상대를 돕게 된다/장자/거협/ (0) | 2020.05.01 |
인의로 본성을 잃게 만들어 세상이 어지러워졌다/장자/마제/ (0) | 2020.05.01 |
본성대로 소박하게 자연 속에 살아야 한다/장자/마제/ (0) | 2020.05.01 |
모든 인위적인 것은 훌륭한 것이 못 된다/장자/변무/ (0) | 2020.04.30 |
인위적인 행위는 모두 사람의 본성을 해친다/장자/변무/ (0) | 2020.04.30 |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장자/변무/ (0) | 2020.04.30 |
인의덕성의 존중과 논리는 쓸 데 없다/장자/변무/ (0) | 2020.04.29 |
인위가 가해지면 자연은 죽는다/장자/응제왕/ (0) | 202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