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신체의 변화도 자연의 변화의 일부이다
- 장자(내편):제6편 대종사[9]-
자사·자여·자려·자래 네 사람이 모여 이야기했다.
“누가 무(無)를 머리로 삼고, 삶을 척추로 삼고, 죽음을 궁둥이로 삼을 수 있겠는가? 누구든 삶과 죽음과 존속과 멸망이 한가지임을 알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와 더불어 친구가 될 것이다.”
네 사람은 서로 바라보면서 웃고 뜻이 맞아 서로 친구가 되었다.
얼마 되지 않아 자여가 병이 나서 자사가 문병을 가니 자여가 말했다.
“조물주는 참으로 위대하구나. 내 몸을 이토록 오그라들게 만들다니, 등은 곱사등이 되고, 오장의 힘줄은 위쪽으로 올라가고, 턱은 배꼽 아래로 감추어지고, 어깨가 머리끝보다 높고, 목덜미는 하늘을 가리키게 되었구나.”
음과 양의 기운이 어지러워져 있었으나 그의 마음은 한가롭고 맑아 아무 일도 없는 듯했다. 자여는 비틀거리며 우물가로 걸어가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 보면서 말했다.
“조물주가 나의 모습을 이토록 오그라들게 만들다니....”
자사가 말했다.
“당신은 그렇게 된 것이 싫습니까?”
자여가 대답했다.
“아닙니다. 내가 어찌 싫어하겠습니까. 나의 왼팔을 조금씩 변화시켜서 닭으로 만들어 준다면 나는 사람들에게 새벽을 알려 줄 것입니다. 나의 오른팔을 조금씩 변화시켜 화살로 만들어 준다면 나는 새를 맞추어 구워 먹을 것이고. 나의 궁둥이를 조금씩 변화시켜 수레바퀴를 만들어주고 정신을 변화시켜 말로 만들어 준다면 나는 그대로 타고 다닐 것입니다. 따로 수레에 말을 멜 필요가 어디 있겠습니까? 또한 몸을 타고나는 것은 때를 얻은 것이며, 삶을 잃는 것은 자연의 변화에 따르는 것입니다.
때에 한정되고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면 슬픔이나 즐거움이 끼어들 사이가 없게 됩니다. 이것이 구속으로부터의 해방인 것입니다. 그런데 속박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지 못하는 것은 사물이 그를 동여매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물이 하늘을 이기지 못한다는 것은 오래된 진리입니다. 내가 어찌 싫어하겠습니까?”
- 莊子(內篇):第6篇 大宗師[9]-
子祀.子輿.子犁.子來四人相與語曰:「孰能以無爲首, 以生爲脊, 以死爲구, 孰知死生存亡之一體者, 吾與之友矣.」 四人相視而笑, 莫逆於心, 遂相與爲友.
俄而子輿有病, 子祀往問之. 曰:「偉哉夫造物者, 將以予爲此拘拘也! 曲僂發背, 上有五管, 頤隱於齊, 肩高於頂, 句贅指天.」陰陽之氣有沴, 其心閒而無事, 跰[足+鮮]而鑑於井, 曰:「嗟乎! 夫造物者又將以予爲此拘拘也!」
子祀曰:「女惡之乎?」
曰:「亡, 予何惡? 浸假而化予之左臂而爲鷄, 予因以求時也. 浸假而化予之右臂以爲彈, 予因以求鴞灸. 浸假而化予之尻以爲輪, 以神爲馬, 予因以乘之, 豈更駕哉! 且夫得者, 時也, 失者, 順也. 安時而處順, 哀樂不能入也. 此古之所謂縣解也. 而不能自解者, 物有結之. 且夫物不勝天久矣, 吾又何惡焉!」
'옛글[古典]산책 >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우쳐 노력하면 바른길로 갈 수 있다/장자/대종사/ (0) | 2020.04.27 |
---|---|
죽음과 삶의 실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장자/대종사/ (0) | 2020.04.27 |
도의 세상에서는 서로를 잊는다/장자/대종사/ (0) | 2020.04.24 |
삶은 군살이고 죽음은 고름을 짜는 것과 같다/장자/대종사/ (0) | 2020.04.24 |
삶과 죽음은 변화하는 자연현상일 뿐이다/장자/대종사/ (0) | 2020.04.24 |
도는 인간적인 욕망의 초월에서 얻어진다/장자/대종사/ (0) | 2020.04.23 |
도는 만물의 근원으로 어디에나 있다/장자/대종사/ (0) | 2020.04.23 |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스러움이 소중하다/장자/대종사/ (0) | 2020.04.23 |
삶을 잘 사는 것이 죽음을 잘 맞이하는 길이다/장자/대종사/ (0) | 2020.04.23 |
참된 사람은 모든 것을 한가지로 본다/장자/대종사/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