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온실성[溫室省] 온실성은 중서성(中書省)의 별칭이다.
❏ 온실성[溫室省] 온실성은 한(漢) 나라 때 전(殿) 이름으로, 즉 온실전(溫室殿)을 말한다.
❏ 온실수[溫室樹] 온실은 전명(殿名)으로, 조정의 정사를 누설시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공광전(孔光傳)에 “어떤 사람이 광에게 ‘온실성(溫室省) 가운데 모두 무슨 나무를 심었습니까?’라고 묻자, 광은 잠자코 대답하지 않았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온실수[溫室樹] 온실은 한대(漢代)의 궁전 이름. 전하여 궁궐에 있는 수목(樹木)을 가리킨다.
❏ 온온[氳氳] 기운이 성한 모양이다.
❏ 온온[溫溫] 온화한 모양, 윤택한 모양, 열기가 나는 모양이다.
❏ 온유[溫柔] 따뜻하고 부드러운 여체(女體)를 말한 것으로 미인을 온유향(溫柔鄕)이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온유돈후[溫柔敦厚] 성품이 온화하고 부드럽고(유순하고) 인정이 두텁고 후덕함을 이른다.
❏ 온정균[溫庭筠] 당(唐) 나라의 문장가로서 본명은 기(岐), 자는 비경(飛卿). 문장이 뛰어나, 당시 대문장가인 이상은(李商隱)과 이름이 대등하였고, 저서에는 악란집(握蘭集)・금전집(金荃集)・한남진고(漢南眞稿)가 있다.
❏ 온정황향[溫凊黃香] 온정은 아들이 어버이를 봉양함에 있어 겨울에는 다숩게 하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는 것으로, 전하여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하는 것을 이르는데, 후한(後漢) 때 황향(黃香)이 어려서 모친을 여의고 아버지를 섬기면서 항상 여름이면 부친의 와상과 베개에 부채질을 하여 시원하게 하고, 겨울이면 자신이 부친의 이부자리 속에 먼저 드러누워 자리를 다습게 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八十>
❏ 온조성[溫祚城] 광주목(廣州牧)에 있는 고성. 백제 온조왕(溫祚王)13년에 위례성(慰禮城)에서 한강을 끼고 있는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도읍지를 옮기기 위하여 쌓은 성이다. 온조왕 고성(溫祚王古城).
❏ 온청[溫凊] 동온하정(冬溫夏凊)의 준말로,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데 있어 겨울에는 따습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린다는 뜻이다. 예기(禮記) 곡례 상(曲禮上)에 “자식은 부모님에 대해서,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 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려야 한다.[冬溫而夏凊]”라는 말이 나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옹자요장[翁子腰章]~옹중[翁仲]~옹중멱서[甕中覓書]~옹지[雍氏] (0) | 2019.10.14 |
---|---|
옹성원[翁星原]~옹수양아[擁樹兩兒~옹옹[喁喁]~옹유승추[甕牖繩樞] (0) | 2019.10.11 |
옹방강[翁方綱]~옹비음[擁鼻吟]~옹산[甕算]~옹산성[甕山城] (0) | 2019.10.10 |
옹결[臃決]~옹문[雍門]~옹문가[雍門歌]~옹문주[雍門周] (0) | 2019.10.08 |
온탕[溫湯]~온팔차[溫八叉]~온확[溫蠖]~올올[兀兀]~올자[兀者] (0) | 2019.10.07 |
온벽[韞璧]~온수만투간[溫水謾投竿]~온수불감어[溫水不堪漁] (0) | 2019.10.02 |
온거[轀車]~온교취태[溫嶠醉態]~온량공검양[溫良恭儉讓]~온론[慍惀] (0) | 2019.10.01 |
옥홍[玉虹]~옥황가[玉皇家]~옥황향안[玉皇香案]~옥휘[玉徽] (0) | 2019.09.30 |
옥현[玉鉉]~옥호[玉毫]~옥호빙[玉壺氷] ~옥호천[玉壺天] (0) | 2019.09.27 |
옥판[玉板]~옥판회[玉版回]~옥패[玉佩]~옥패명경거[玉佩鳴瓊琚] (0) | 201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