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온탕[溫湯] 당나라 서울 근처에 온천이 있었는데, 그것을 황실의 전용 온천으로 하고, 거기에 궁을 지어서 화청궁(華淸宮)이라 하고, 온천은 화청지라 하고서 양귀비와 항상 놀러 갔었다.

온태위[溫太尉] 온태위는 곧 진() 나라 온교(溫嶠)를 가리킨다. <晉書 卷九十八 桓溫傳>

온팔차[溫八叉] 전당시화(全唐詩話)온정균(溫庭筠)은 언제나 손을 여덟 번만 마주 잡으면 팔운(八韻)을 다 지어내니, 당시 사람들이 온팔차(溫八叉)라 불렀다.”라고 하였다.

온확[溫蠖] 혼분(惛憤)과 같음. 초사(楚辭)의 어부(漁父)에는 진애(塵埃)로 되었다. 원문의 상류(湘流)는 사기(史記) 굴원전에 상류(常流)로 되었다.

올올[兀兀] 마음을 한 곳에 쏟아 움직이지 않는 모양, 쉬지 않고 힘쓰는 모양, 흔들리어 위태로운 모양이다.

올올[仡仡] 배가 움직이는 모양이다.

올올등등[兀兀騰騰] 어리숙한 모습으로 자족(自足)하며 느긋하게 즐기는 생활을 말한다. 참고로 백거이(白居易)의 시 약심(約心)兀兀復騰騰 江城一上佐라는 구절이 있다. 또 제석상인(題石上人)이라는 시에는 騰騰兀兀在人間 貴賤賢愚盡往還이라는 표현이 있다.

올자[兀者] 형벌(刑罰)에 의해 발뒤꿈치를 잘린 불구자를 이른다.

올자안도장[兀者安堵墻] 다리 한쪽이 잘려 병신이 된 사람은 부역에 나가지 않고 집안에 편안히 지낸다는 말이다. 두보(杜甫)의 시 입형주(入衡州)최관(崔瓘)이 고을을 다스리고부터 과부들이 외짝 다리 병신처럼 집안에서 편안히 지내게 되었다.[寡妻從爲郡 兀者安堵墻]”라고 하였다.

올진촉산두[兀盡蜀山頭] ()나라 시인(詩人) 두목(杜牧)의 아방궁부(阿房宮賦)촉산 높고, 아방궁 우뚝 솟았네.[蜀山兀 阿房出]”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