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계포무이락[季布無二諾] () 나라 계포가 한 번 승락하면 반드시 지켰다는 고사로서 초() 나라 속담에 황금 1백 근을 얻기보다는 차라리 계포의 승락을 한 번 얻는 것이 낫다.”고 하였다 한다. <史記 季布傳>

  • 계포상[繫苞桑] 주역(周易)나라가 망할까 염려하여 떨기로 된 뽕나무[苞桑]에 매라.”라 하였다. 뽕나무는 뿌리가 깊이 들어가 튼튼하여 잘 뽑아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 계포일락[季布一諾] 계포의 한 번 약속. 확실한 약속 또는 한번 한 약속은 반드시 지킴을 이른다.

  • 계피학발[鷄皮鶴髮] 사람이 늙어서 피부는 닭의 살갗과 같이 되고 머리는 세어 학 날개처럼 희어졌다는 말이다.

  • 계학[谿壑] 계학은 큰 골짜기란 뜻으로 끝없이 먹으려고 하는 욕심을 비유한 말이다.

  • 계학[溪壑] 시내와 구렁[溪壑]은 채우기 쉬울지언정 탐한 자의 욕심은 채우기 어렵다[何欲乎溪壑]는 옛글이 있다.

  • 계할[鷄割] 닭을 벤다고 함은 작은 일에 큰 인재를 썼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공자가 무성에 이르러 글 읽고 거문고 타는 소리를 듣고 이르기를 닭을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리오.” 하였다 한다.

  • 계함[季涵]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자()이다.

  • 계해반정[癸亥反正] 인조반정을 말한다. 인조반정은 광해군 15년에 있었고, 15년은 바로 계해년이었다.

  • 계행죽엽성[鷄行竹葉成] 닭이 자나가니 댓잎이 그려진다는 뜻이다. 닭이 지나간 발자국을 묘사 한 시구로 개가 달려가니 매화꽃이 뚝뚝 떨어진다.”는 시구와 대구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