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하돈[河豚] 하돈(河豚)은 복어(鰒魚)의 이칭(異稱)이다.
❏ 하돈안본[河豚贋本] 죽파시화(竹坡詩話)에 “미원장(米元章)이 다른 사람의 서화를 잘 바꾸는데 양차옹(楊次翁)이 국을 마련하여 밥을 대접하며 ‘오늘은 그대를 위해서 하돈 생선을 준비하였다.’고 하였는데 사실은 다른 생선이었다. 원장은 의심하여 먹지 아니하니 차옹은 웃으며 ‘공은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안본이다.’라고 했다.”라고 하였다.
❏ 하동[河東] 유씨(柳氏)를 두고 쓰는 별칭이다.
❏ 하동[河東] 황하의 동쪽지방이라는 뜻으로 지금의 산서성 남부에 설치한 진나라의 군(郡) 이름이다.
❏ 하동군[河東郡] 원래 전국 때 위(魏)나라가 설치한 군현(郡縣)이었으나 진(秦)나라가 빼앗아 관할하다가 한나라가 그대로 따랐다. 지금의 산서성 남부지역을 관할로 하고 치소는 안읍(安邑)이다.
❏ 하동부[河東賦] 문장의 이름이다.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지어서 임금에게 올린 것이다.
❏ 하득무송편시백[賀得茂松偏是柏] 훌륭한 사람에게는 훌륭한 친구가 많다는 뜻이다.
❏ 하락[河洛]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가리킨다.
❏ 하량[河梁] 하량은 하수를 건너지른 다리인데, 한(漢)의 이릉(李陵)이 소무(蘇武)와 작별하면서 하량별(河梁別)이란 시를 썼었다. <漢書 李陵傳>
❏ 하량곡[河梁曲] 송별(送別)의 노래를 뜻한다. 하량은 강의 다리를 이르는데, 한 소제(漢昭帝)가 즉위하여 흉노(匈奴)와 화친을 함으로써,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 19년 동안이나 억류되었던 소무(蘇武)가 한 나라로 돌아올 적에 이릉(李陵)이 소무를 송별하는 시에서 “서로 손 잡고 하량에 오르노니 나그네는 저문 날에 어디로 갈꼬.[携手上何梁 游子暮何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삭음[河朔飮], 하삭주[河朔酒], 하삭피서[河朔避暑], 하삼[荷衫], 하삽유령[荷鍤劉伶] (0) | 2024.03.19 |
---|---|
하복[夏馥], 하분[河汾], 하비[下邳], 하사[河沙], 하사표[賀赦表], 하삭[河朔], 하삭면[河朔面] (0) | 2024.03.19 |
하방[下方], 하백과량애[河伯誇兩涯], 하백망양[河伯望洋], 하백부[河伯婦], 하변영필[河邊靈匹] (0) | 2024.03.15 |
하리가[下里歌], 하리백설[下里白雪], 하만자[何滿子], 하목[霞鶩], 하목융상[河目隆顙], 하목해구[河目海口] (0) | 2024.03.15 |
하로[賀老], 하로동선[夏爐冬扇], 하로아오어[賀老雅吳語], 하루[何陋], 하류신난처[下流信難處], 하륜[下淪] (0) | 2024.03.15 |
하담이립[荷擔而立], 하당경북두[何當傾北斗], 하당지질[下堂之疾], 하덕지쇠[何德之衰], 하도낙서[河圖洛書] (0) | 2024.03.15 |
하낙도서[河洛圖書], 하남백숙[河南伯叔], 하내구공[河內寇公], 하내절[河內節], 하내학[河內學] (0) | 2024.03.14 |
하공[何公], 하과[夏課], 하관[荷冠], 하괴[河魁], 하교[河橋], 하군[何窘], 하궤[荷簣], 하규[夏畦] (0) | 2024.03.14 |
하개[荷蓋], 하거[河車], 하걸축조구[夏桀築糟丘], 하계구가[夏啓謳歌], 하계진[賀季眞] (0) | 2024.03.14 |
하가찬[何家饌], 하간[河間], 하간전[河間錢], 하감[賀監], 하감청유[賀監淸遊], 하감호[賀鑑湖] (0)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