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對酒五首[其一]대주5수1 / 술잔을 앞에 두고
- 白居易[백거이] -
巧拙賢愚相是非[교졸현우상시비] 잘났거니 못났거니 서로 따지느니
何如一醉盡忘機[하여일취진망기] 푹 취해 세상사 다 잊음이 어떤가
君知天地中寬窄[군지천지중관착] 아나 그대 하늘과 땅 사이 넓이를
鵰鶚鸞皇各自飛[조악난황각자비] 수리나 봉황이나 나름대로 난다네
❍ 백거이[白居易] 당(唐)나라 때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조적(祖籍)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고,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년,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하남(河南)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정원(貞元) 16년(800)에 진사가 되어, 벼슬은 소주(蘇州)·항주(杭州)의 자사를 거쳐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에 지냈고,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치사(致仕)하였다. 향산(香山)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뜬 뒤 낙양(洛陽) 남쪽 향산의 비파봉(琵琶峰)에 묻혔다. 시호는 문(文)이다. 세상 사람들이 백부(白傅) 또는 백문공(白文公)으로 불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세 때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한다.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더불어 당대3대시인(唐代三大詩人)으로,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원진(元稹)과는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이끌어 원백(元白)으로, 유우석(劉禹錫)과는 유백(劉白)으로 병칭되며 당시 으뜸으로 쳤다. 백거이는 시의 제재가 광범위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언어가 평이하고 통속적이어서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 등의 칭호를 얻었다. 그는 시론을 통해 자신의 시작의 첫째 목적은 겸제(兼濟)의 뜻을 살린 풍유(諷諭)에 있다고 현실주의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고, 스스로 자신의 시집을 편집하면서 시를 풍유시(諷諭詩), 한적시(閑寂詩), 감상시(感傷詩), 잡률(雜律詩)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만년에는 세상일에 대하여 고민하고 방황한 끝에 한적을 좋아하는 태도로 발전한다. 저서에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백씨육첩사류(白氏六帖事類) 등이 전한다. 장한가(長恨歌), 매탄옹(賣炭翁), 비파행(琵琶行) 등을 대표적인 시로 꼽는다.
❍ 교졸[巧拙] 교묘(巧妙)함과 졸렬(拙劣)함. 익숙함과 서투름.
❍ 현우[賢愚] 어짊과 어리석음. 어진 이와 어리석은 이.
❍ 망기[忘機] 속세(俗世)의 일이나 욕심(慾心)을 잊음. 기심(機心)을 잊음. 즉 세욕에 끌리는 마음을 훌훌 털어내고 물외의 지취(旨趣)를 추구하는 심성의 상태를 지칭함.
❍ 관착[寬窄] 넓이. 넓고 좁음.
❍ 조악[雕鶚] 수리. 독수리와 물수리. 즉, 맹금(猛禽)을 뜻한다.
❍ 맹금[猛禽] 매나 독수리 따위와 같이, 성질이 사납고 육식을 하는 날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난황[鸞皇] 난새와 봉황새.
❍ 서조[瑞鳥] 상서로운 새. 봉황, 난조 등이 있다. 난조는 꿩과 닮은 새로 몸집이 크고 꼬리가 길며 다섯 가지 색으로 빛난다. 봉황과 함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시[漢詩]산책 > 한시 자적[自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苔磯釣魚태기조어 / 이끼 낀 돌 위 낚시질 / 金瑬김류 (0) | 2013.10.28 |
---|---|
和郭主簿二首[其一]화곽주부2수1 / 차조를 찧어 술을 빚고 / 陶淵明도연명 (0) | 2013.10.22 |
丘中有一士二首[其二]구중유일사2수2 / 산속의 은사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22 |
丘中有一士二首[其一]구중유일사2수1 / 산속의 은사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22 |
對酒五首[其四]대주5수4 / 백년을 산들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18 |
勉閒遊면한유 / 한가히 놀라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16 |
不如來飮酒불여래음주 / 술이나 마시자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16 |
不出門불출문 / 문밖에 안 나가고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16 |
逍遙詠소요영 / 노닐며 읊다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16 |
松齋自題송재자제 / 송재에서 / 白居易백거이 (0) | 201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