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허위류전[許魏留鐫] 중국의 사신인 허국(許國)과 위시량(魏時亮)을 가리킨다. 이들은 명종(明宗) 22년에 사신으로 나왔다.
❏ 허유[許由] 요임금 때 은자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요임금이 그에게 임금의 자리를 선양하려고 하자 받지 않고 영수(穎水) 북쪽의 기산(箕山)으로 달아나 숨어버렸다. 그 뒤 다시 요임금이 불러 구주(九州)의 장을 맡기려고 했으나 그 말은 들은 허유는 자기 귀가 더렵혀졌다고 영수의 물가로 달려가 그 귀를 씻었다고 했다. 허유의 이야기는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 서무귀(徐無鬼), 양왕(襄王) 등의 편에 수록되어 있다.
❏ 허유[許由] 중국 상고(上古) 시대의 고사(高士)로서 요(堯)가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 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요 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고 하니, 허유는 ‘당신이 천하를 다스려 천하는 이미 잘 다스려졌습니다. 그런데 내가 당신을 계승한다면 나는 장차 명예를 위하라는 말입니까? 뱁새가 깊은 숲에 서식(棲息)하여도 한 개의 나뭇가지에 의지할 뿐인 것입니다. ……그러니 당신은 돌아가십시오.’라 하고 사양했다.”고 하였다.
❏ 허유기표[許由棄瓢] 당요(唐堯) 시절의 고상한 은사였던 허유(許由)가 기산(箕山)에 숨어살며 물을 떠 마실 그릇이 없기 때문에 손으로 늘 움켜 마셨는데 그것을 본 어떤 사람이 바가지 한 짝을 그에게 주었다. 허유는 그 바가지로 물을 퍼 마시고는 나뭇가지에다 걸어 두었더니 바람이 불면 딸그락 딸그락 소리가 나는 것이었다. 그러자 허유는 그것이 번거롭다 하여 바가지를 버리고 다시 손으로 움켜 마셨다고 한다. <琴操>
❏ 허장성세[虛張聲勢] 명성과 위세를 헛되이 펼쳐 놓음. 거짓으로 위세를 꾸미고 헛된 소리로 사람을 위협한다. 실력이 없으면서, 또는 실속없이 허세만 떠벌림.
❏ 허정[虛靜] 텅 빈 마음으로 만물을 모두 받아들이고, 스스로 고요히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만물의 실상을 가감없이 그대로 비쳐 주는 것을 말한다.
❏ 허정[許靖] 후한(後漢) 말엽에 동탁(董卓)을 죽이려다 실패한 뒤 촉한(蜀漢)에 들어가서 태부(太傅)가 되었는데, 인재를 아끼고 후진을 이끌어 주며 청담(淸談)을 즐겼다. 일찍이 “영재(英才) 위사(偉士)로서 대사를 도모할 만한 지략(智略)을 지녔으며, 항상 남을 먼저 위하고 자신을 뒤로 돌렸다.[先人後己]”는 평판을 얻었는데, 승상 제갈량(諸葛亮) 역시 그의 인품을 흠모하여 절을 하곤 하였다 한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葛洪尸定解 許靖力難任”이라는 구절이 있다.
❏ 허정라면[虛庭羅麪] 속석(束晳)의 면부(麪賦)에 “가는 밀가루가 눈[雪]처럼 날린다.”고 한 말을 인용하였다. 문견후록(聞見後錄)에는 “그의 집에서 밀가루를 가공하여 생계를 이어갔다.”고 하였다.
❏ 허제[虛祭] 허위(虛位)를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결[革抉], 혁부호변[革孚虎變], 혁지홍곡[奕志鴻鵠], 현가무성[絃歌武城], 현개경[玄介卿] (1) | 2024.11.29 |
---|---|
헌학[軒鶴], 헌훤[獻喧], 헌희[軒羲], 헐후체[歇後體], 험윤[玁狁], 험희[險巇] (1) | 2024.11.26 |
헌수[獻酬], 헌옥재월[獻玉再刖], 헌원탁록[軒轅涿鹿], 헌지추우[軒墀簉羽], 헌체[獻替] (0) | 2024.11.20 |
헌가체부[獻可替否], 헌거[軒擧], 헌근[獻芹], 헌금[軒禽], 헌면[軒冕] (0) | 2024.11.07 |
허주[虛舟], 허주[許州], 허중위이[虛中爲离], 허창[許昌], 허흡[噓吸], 허희[歔欷] (1) | 2024.11.01 |
허비경[許飛瓊], 허사김장[許史金張], 허실생백[虛室生白], 허실자요[虛室自曜] (3) | 2024.10.29 |
허곽품인[許郭品人], 허기[虛器], 허령불매[虛靈不昧], 허뢰[虛籟], 허무[虛無] (0) | 2024.10.29 |
향전[香篆], 향진[香塵], 향혼[香魂], 향화사[香火社], 향회입연식[嚮晦入宴息] (0) | 2024.10.22 |
향자손익[向子損益], 향자평[向子平], 향적[香積], 향적반[香積飯], 향적주[香積廚] (0) | 2024.10.22 |
향상[香象], 향안리[香案吏], 향우인[向隅人], 향우지탄[向隅之歎], 향의[香蟻], 향일화[向日花] (1)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