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세상에 진실한 도를 체득한 사람은 드물다

 

- 장자(외편)21편 전자방5-

 

장자가 노나라 애공을 만났을 때, 애공이 말했다.

노나라에는 유자들은 많지만 선생의 학술을 닦는 사람은 적습니다.”

장자가 말했다.

노나라에는 유자가 적습니다.”

애공이 물었다.

온 노나라 사람들이 유자의 옷을 입고 있는데 어찌 유자가 적다는 것입니까?”

장자가 말했다.

제가 듣건대 유자가 둥근 관을 쓰고 있는 것은 하늘의 때를 안다는 표시이고, 모난 신을 신고 있는 것은 땅의 현상을 안다는 표시이고, 오색실로 구슬을 꿰어차고 있는 것은 일을 하게 되면 결단을 내린다는 표시라고 했습니다.

군자가 그런 도를 지니고 있다면 반드시 그런 복장을 하지 않을 것이며, 그런 복장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그런 도를 알고 있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임금님께서 굳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신다면 어찌하여 나라 안에 명령을 내려그런 도를 지니고 있으면서 그런 옷을 입고 있지 않은 자는 사형에 처한다고 공포하지 않으십니까?”

이에 애공은 그렇게 명령을 내렸다. 그 후 닷새가 지나자 노나라에는 감히 유자의 옷을 입고 있는 자가 없게 되었다. 다만 한 사나이가 유자의 옷을 입고서 궁궐 문 앞에 서 있었다. 애공이 곧 그를 불러 나라 일에 대해 물어보았는데, 천 가지로 바뀌고 만 가지로 변화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막히는 것이 없었다.

장자가 말했다.

노나라에 유자는 한 사람 뿐입니다. 어찌 많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 莊子(外篇)21篇 田子方5-

莊子見魯哀公. 哀公曰:「魯多儒士, 少爲先生方者.

莊子曰:「魯少儒.

哀公曰:「擧魯國而儒服, 何謂少乎?

莊子曰:「周聞之, 儒者冠圜冠者, 知天時. 履句屨者, 知地形. 緩佩玦者, 事至於斷. 君子有其道者, 未必爲其服也. 爲其服者. 未必知其道也. 公固以爲不然, 何不號於國中曰無此道而爲此服者, 其罪邪!’

於是哀公號之五日, 而魯國無敢儒服者, 獨有一丈夫儒服而立乎公門. 公卽召而問以國事, 千轉萬變而不窮.

莊子曰:「以魯國而儒者一人耳, 可謂多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