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문동(文同)은 중국 북송의 문인이자 화가로, 자는 여가(與可)이다. 시문과 글씨․죽화(竹畵)에 특히 뛰어났으며, 인품이 고결하고 박학다식하여 사마광(司馬光)․소식 등은 문동을 매우 존경했다고 한다. 문동은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았다.
문동의 집은 앞뒤로 대가 우거져 있어 제법 아름다운 경치를 이루고 있었다. 그는 대를 몹시 사랑하여 직접 심어서 돌보기도 하였다. 시간만 나면 죽림에 들어가서 대가 자라는 모습, 가지 치는 상태, 잎이 우거지는 모습, 그리고 죽순이 나오는 모양과 자라는 모습 등을 정성들여 꼼꼼히 관찰하여 대에 대한 모든 것을 터득하였다. 그 후로, 그는 대를 완상(玩賞)하다가 흥에 겨우면 집으로 들어가 종이를 펼치고 먹을 갈아 그림을 그렸다. 대에 대해 충분히 연구 관찰하였으므로, 그가 그리는 묵죽화는 박진감이 있다고 평판이 높았다. 그 자신은 마음속에 떠오르는 대로 대를 그릴 뿐이었으나, 세간에서는 높이 평가하여 귀하게 취급하게 되었다. 그의 묵죽화가 천하일품이라고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국 각지에서 그림을 그려 받으려는 사람들이 몰려와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조보지(晁補之)는 학자이자 시인이었는데 문동과는 절친한 친구였다. 문동은 그가 찾아오면 반가이 맞아 죽림으로 가서 차를 마시며 즐겨 한담을 나누었는데, 조보지는 문동이 즉석에서 대를 그리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을 좋아했다. 어느 날 문동에게 그림을 배우고 싶어 하는 청년이 조보지를 찾아와 문동의 그림에 대해 물었다. 조보지는 다음과 같이 말해주었다.
“여가가 대를 그리고자 할 때, 흉중에는 이미 성죽이 있다.[與可畵竹時 胸中有成竹]”
여기서 여가(與可)는 문동의 자(字)이다. 조보지는 문동의 그림이 어느만큼 높은 경지에 이른 것인가를 이 말 한마디로 표현한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비롯하여 흉유성죽(胸有成竹)이란 말이 나왔으며, 어떤 일에 착수하기 전에 이미 충분한 복안이 서 있음의 비유로 사용되고 있다.
대를 그리기에 앞서 흉중에 이미 완성된 대나무가 있다는 뜻으로,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 흉중에 이미 성산(成算)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득성죽우흉중(得成竹于胸中), 흉중유성죽(胸中有成竹), 유성죽흉(有成竹胸)이라고도 한다.
'옛글[古典]산책 > 고사성어[古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길흉화복은 예측할 수 없다 (0) | 2020.01.10 |
---|---|
회자정리[會者定離]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지게 마련이다 (0) | 2020.01.10 |
화호불성반류구[畵虎不成反類狗]호랑이를 그리려다 개를 그리다 (0) | 2020.01.10 |
화이부동[和而不同]어울리되 같아지지 않는다 (0) | 2020.01.09 |
호가호위[狐假虎威]남의 권위를 빌려 등쳐먹는다 (0) | 2020.01.09 |
포정해우[苞丁解牛]신통한 솜씨 (0) | 2020.01.09 |
포신구화[抱薪救火]땔감을 안고 불을 끄려한다 (0) | 2020.01.09 |
포류지자[蒲柳之姿]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蒲柳之質) (0) | 2020.01.09 |
파경중원[破鏡重圓]이별한 부부가 다시 합하다 (0) | 2020.01.09 |
퇴고[推敲]문장을 다듬고 어휘도 살피고.. (0)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