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여재주[驢載酒] () 나라 조학(曹學)이 날마다 돈과 호로병을 묶어 나귀등에 실어서 성 안으로 들여보내면 사람들이 조학의 나귀임을 알고 돈을 받고 호로병에 술을 담아 보냈다 한다.

여전[臚傳] 전상(殿上)에서 과거 급제자(科擧及第者)의 이름을 호창(呼唱)하면 계하(階下)의 위사(衛士)들이 일제히 그 소리를 전달하던 것을 말한다.

여절[女節] 여절은 황제(皇帝)의 정비(正妃)로 황아(皇娥)라고도 하는데, 밤에 별에서 무지개 같은 기운이 내려오는 꿈을 꾸고 지()를 낳았다 한다.

여정[呂政] 여정은 진시황(秦始皇) 영정(贏政)으로, 그가 실제로 여불위(呂不韋)의 소생이기 때문에 경멸하는 뜻에서 그렇게 부른 것이다.

여정[荔挺] 여정은 향초(香草)의 이름이다. 예기(禮記) 월령(月令)중동(仲冬)의 달에 여정이 싹난다하였다.

여정[犁庭] 뜰을 갈아서 밭으로 만든다는 뜻으로, 즉 흉노를 멸망시킴을 비유한 말이다. <漢書 匈奴傳>

여정[餘丁] 군역(軍役)에 종사하는 정년자(丁年者) 이외의 장정(壯丁)들을 말한다.

여조겸[呂祖謙] 여동래는 송() 나라 사람. 호는 동래(東萊). 주희(朱熹)가 일찍이 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요즘 매미 소리가 더욱 맑아진지라, 매미 소리를 들을 때마다 공의 높은 풍도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하였다. <朱子大全 卷三十三>

여좌[閭左] 의무려산(醫巫閭山)의 동쪽 지역. 의무려산은 요령성(遼寧省) 북진현(北鎭縣) 서쪽에 있는 큰 산으로 음산산맥(陰山山脈)의 지맥(支脈)이다.

여좌[閭左] () 나라 때에 부역(賦役) 등을 면제받고 이문(里門)의 좌측에 살던 빈약한 민가(民家)를 말하는데, 진 시황은 이 빈약한 민가에서까지 수졸을 징발하였으므로 이른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