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艱飮野店[간음야점] 시골 주막에서 어려이 마시다

 

- 金炳淵[김병연] -

 

千里行裝付一柯[천리행장부일가] 천리 나그네길 막대기 하나 의지하고

餘錢七葉尙云多[여전칠엽상운다] 여윳돈 일곱닢도 오히려 많다 여기며

囊中戒爾深深在[낭중계이심심재] 주머니 속 깊이깊이 있으라 일렀건만

野店斜陽見酒何[야점사양견주하] 해질녘 주막에서 술을 보니 어하랴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행장[行裝] 길을 떠나거나 여행할 때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물건이나 차림. 여행할 때 쓰이는 모든 기구.

심심[深深] 고요하고 희미한 모양. 깊숙하고 어둠침침한 모양. 깊은 모양. 조용한 모양. 깊고 깊음.

야점[野店] 시골주막. 교외의 찻집. 시골에 있는 가게. 시골에 있는 객사(客舍), 반점(飯店), 다관(茶館) 등을 가리킨다.

사양[斜陽] 해질 무렵에 비스듬히 비치는 해, 또는 햇볕. 지는 햇빛. 해질녘. 사조(斜照), 측일(仄日). 왕성하지 못하고 차츰 쇠퇴하여 가는 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