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밥은 먹었느냐
-[제76칙]끽반료미 -
<수시>-----------------------------
우리의 본심은 아주 작다고 보면 싸라기 같고, 아주 차갑다고 보면 어름이나 서리처럼 차갑다. 그러나 넓게 보면 온 누리에 가득 차 있어서 밝음이나 어둠 따위를 초월한다. 낮고 낮은 밑바닥, 즉 미혹으로 찬 범부의 세계에도 본심 본성 곧, 여래의 지혜덕상은 넘치고 있고 높고 높은 곳, 즉 부처나 깨달은 자라도 범부보다 더 많은 것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살리는 것도 죽이는 것도 또 긍정도 부정도 모두 이 우주 절대의 진리 속에 있다. 과연 이러한 진리를 깨달은 자가 있느냐 없느냐?
<본칙>-----------------------------
단하스님이 어떤 스님에게 물었다.
“어느 곳에서 왔느냐?”
“산밑에서 왔습니다”
“밥은 먹었느냐?”
“먹었습니다”
“너에게 밥을 먹여준 사람은 안목을 갖추었느냐?”
스님은 말이 없었다.
장경스님이 보복스님에게 물었다.
“밥을 먹여주었으니, 은혜를 갚을 만한 자격이 있는데, 무엇 때문에 안목을 갖추지 못했다고 하였을까?”
“주는 사람이나 받은 사람이나 둘 다 장님이다.”
“그 기틀을 다하여도 장님이 되었을까?”
“나를 장님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송>-------------------------------
애썼다느니 장님이 아니라느니
소 머리 눌러 풀 먹이는 꼴이네
많고 많은 조사들 어쩌자고
바리떼들은 들고 왔는가
그 잘못 헤아릴 수가 없으니
온 세상 모두 그 때문에 고생이네
-[第76則]喫飯了未 -
<垂示> 垂示云. 細如米末. 冷似冰霜. 幅塞乾坤. 離明絶暗. 低低處觀之有餘. 高高處平之不足. 把住放行. 總在這裏許還有出身處也無. 試擧看.
<本則> 擧. 丹霞問僧. 甚處來. 僧云. 山下來. 霞云. 喫飯了也未. 僧云. 喫飯了. 霞云. 將飯來與汝喫底人. 還具眼麽. 僧無語. 長慶問保福. 將飯與人喫. 報恩有分. 爲什麽不具眼. 福云. 施者受者二俱瞎漢. 長慶云. 盡其機來. 還成瞎否. 福云. 道我瞎得麽.
<頌> 盡機不成瞎. 按牛頭喫草. 四七二三諸祖師. 寶器持來成過咎. 過咎深無處尋. 天上人間同陸沈.
'옛글[古典]산책 > 벽암록[碧巖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 걸음은 살아서 갔으나 [벽암록 제81칙 삼보수활] (0) | 2015.03.20 |
---|---|
급류 위에서 공을 친다 [벽암록 제80칙 급수상타구] (0) | 2015.03.20 |
모두가 부처님의 소리라는데 [벽암록 제79칙 일체불성] (0) | 2015.03.20 |
문득 물로 인해 깨닫다 [벽암록 제78칙 홀오수인] (0) | 2015.03.20 |
호떡! [벽암록 제77칙 호병] (0) | 2015.03.19 |
한 놈만 팬다 [벽암록 제75칙 타저일개] (0) | 2015.03.19 |
밥통을 들고 춤을 추다 [벽암록 제74칙 반통작무] (0) | 2015.03.19 |
흰머리 검은머리 [벽암록 제73칙 두백두흑] (0) | 2015.03.19 |
나의 자손을 잃어버렸군 [벽암록 제72칙 상아아손] (0) | 2015.03.18 |
이마에 손을 얹고 너를 바라보겠다 [벽암록 제71칙 작액망여] (0) | 201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