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한리왕[韓釐王] 재위 기원전 296-273년. 국력이 급격하게 신장된 지난라가 누차에 걸쳐 침범하자 한나라는 많은 군사와 그 장수를 잃었다. 기원전 284년 진나라를 도와 제나라를 공격하여 그 군사들을 무찔러 제민왕[齊湣王)으로 하여금 제나라를 밖으로 도망치게 만들었다. 후에 조와 위 두 나라로부터 공격을 받자 진나라에 구원을 청했다. 진나라가 구원군을 보내자 조위(趙魏) 연합군은 화양(華陽)의 포위를 풀었다.
❏ 한림[翰林] 한림원(翰林院)의 학사. 문한(文翰)을 맡은 관원. 고려 후기와 조선에서는 예문관(藝文館)의 공봉(供奉)·봉교(奉敎) 이하의 관원을 한림이라 통칭하였다. 한(翰)은 새의 깃, 곧 붓을 뜻하고, 임(林)은 무리로 많이 모인 것을 뜻한다.
❏ 한림[翰林] 하지장(賀知章)의 추천을 받고 당 현종(唐玄宗)을 알현한 뒤 바로 한림으로 임명되어 극진한 총애를 받았던 이태백(李太白)을 가리킨다.
❏ 한림취부황학루[翰林醉賦黃鶴樓] 당(唐)나라 시인(詩人) 이백(李白)이 일찍이 한림공봉(翰林供奉)이 되었으므로 한림이라 칭한다. 그는 “나는 또 그대를 위해 황학루를 쳐부수겠다.[我且爲君搥碎黃鶴樓]”라고 하였다.
❏ 한마공[汗馬功] 말이 땀을 흘리게 한 공로, 즉 전공(戰功)을 말한다.
❏ 한마지로[汗馬之勞] 말[馬]에 땀이 나게 하는 일이란 뜻으로, 혁혁한 전공, 또는 운반하는 고역을 비유하는 말이다.
❏ 한만[汗漫] 한만(汗漫)은 광대무변한 세계를 말한다. 장자(莊子)에 “한만과 더불어서 천지 밖을 기약한다.”고 하였다.
❏ 한만유[汗漫遊] 속세를 초월한 신선의 유람을 말한다. 옛날 노오(盧敖)가 북해(北海)에서 노닐다가 이인(異人)인 약사(若士)를 만나 함께 벗으로 노닐자고 청하자, 약사가 이에 응답하기를 “당신은 중주(中州)의 사람이다. …… 나는 구해(九垓) 밖에서 한만(汗漫)과 만날 약속이 되어 있으니 오래 머물러 있을 수가 없다.”라 하고는 곧바로 구름 속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구해(九垓)는 구천(九天)을 말한다. <淮南子 道應訓>
❏ 한매[寒梅] 추운 날씨에 꽃이 피는 매화나무를 말한다. 참고로 소식(蘇軾)의 시에 “조물이 뭇 고목들 소생시키려 하기 전에, 제일 먼저 찬 매화에 관심을 기울여 주시누나.[化工未議蘇群槁 先向寒梅一傾倒]”라는 표현이 보인다. <蘇東坡詩集 卷22 再和潛師>
❏ 한매농두신[寒梅隴頭信] 친지(親知), 특히 모친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기를 간절히 바란다는 뜻이다. 남조 송(南朝宋)의 육개(陸凱)가 강남(江南)의 매화 한 가지를 장안(長安)에 있던 친구 범엽(范曄)에게 부치면서 “매화 가지 꺾다가 역마 탄 사신 만나, 농두의 벗 생각하고 부쳐 보내노라.[折梅逢驛使 寄與隴頭人]”라는 시를 지은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식상묘[寒食上墓], 한신도앵[韓信渡甖], 한실의관[漢室衣冠], 한아[寒鴉], 한안[汗顔], 한안국[韓安國] (0) | 2024.05.10 |
---|---|
한선[寒蟬], 한섬노토[寒蟾露兎], 한소이두[韓蘇李杜], 한속[寒粟], 한수[寒羞], 한수명향[韓壽名香] (0) | 2024.05.09 |
한사[寒士], 한사마[韓司馬], 한사승사[漢使乘槎], 한사진동[漢士秦童], 한산[寒山], 한산편석[韓山片石], 한상[韓湘] (0) | 2024.05.07 |
한비[韓非], 한비세난[韓非說難], 한비장군[漢飛將軍], 한빙지옥[寒氷地獄], 한빙처[韓凭妻] (1) | 2024.05.03 |
한맹[寒盟], 한면[漢沔], 한문[寒門], 한문석로대[漢文惜露臺], 한반장[漢盤掌], 한발[旱魃] (0) | 2024.05.02 |
한당인[漢黨人], 한대[漢臺], 한랑설리파[韓郞雪裏葩], 한로[韓盧], 한롱적[韓隴笛], 한름진진속[漢廩陳陳粟] (0) | 2024.04.29 |
한단갱[邯鄲坑], 한단지몽[邯鄲之夢], 한단지보[邯鄲之步], 한단침[邯鄲枕], 한단행[邯鄲行] (1) | 2024.04.26 |
한궁비[漢宮妃], 한난기포[寒暖飢飽], 한난염량[寒暖炎凉], 한다폭소[寒多曝少], 한단가청구[邯鄲駕靑軥] (1) | 2024.04.25 |
한공오궁[韓公五窮], 한관[漢關], 한관[扞關], 한관위의[漢官威儀], 한교악지위린[韓蛟鱷之爲隣] (0) | 2024.04.18 |
한거부[閒居賦], 한걸[寒乞], 한계승추[韓洎繩樞], 한고[漢錮], 한고연패[漢皐捐佩], 한곡편양휘[寒谷徧陽暉]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