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수1 / 우물 속의 달
- 李奎報[이규보] -
漣漪碧井碧嵓隈[연의벽정벽암외] 잔물결 푸른 우물 푸른 벼랑굽이로
新月娟娟正印來[신월연연정인래] 초승달 곱다라니 환하게 비춰오네
汲去甁中猶半影[급거병중유반영] 길어 간 물동이에 조각달이 그대로니
恐將金鏡半分廻[공장금경반분회] 앞으로는 조각달만 줄곧 뜰까 걱정이네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수1 / 산에서 밤을 보내며 우물 속의 달을 읊다 / 李奎報이규보 : 東國李相國文集동국이상국집>
❍ 이규보[李奎報] 고려후기(高麗後期)의 대표적인 문신이자 문장가. 본관은 황려(黃驪: 여주). 자는 춘경(春卿), 초명은 인저(仁低),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다. 9세 때부터 신동이라는 말을 들어 14살에는 문헌공도(文憲公徒)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소년시절 술을 좋아하며 자유분방하게 지냈는데, 과거지문(科擧之文)을 하찮게 여기고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春),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李潭之) 등 강좌칠현(姜左七賢)과 교유하였다. 23세 때 겨우 진사에 급제했으나 출세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26세에 개성으로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당시의 문란한 정치와 혼란한 사회를 보고 크게 각성하여 동명왕편(東明王篇)을 지었다. 그 후 최충헌(崔忠憲)정권에 시문으로 접근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32세 때부터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좌천과 부임, 면직과 유배 그리고 복직 등을 거듭하면서 다사다난한 생을 보냈다. 저서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의 저서와 많은 시문(詩文)을 남겼다.
❍ 연의[漣漪] 잔물결. 잔잔한 물결. 고운 물결.
❍ 신월[新月] 초승달. 음력(陰曆)으로 매달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 뜨는 달. 달과 태양(太陽)이 같은 황경(黃經)이 되는 때의 달.
❍ 연연[娟娟] 아름답고 환하다. 빛이 산뜻하게 아름답고 고움. 아름답고 어여쁨. 사람이나 사물이 부드럽고 아름다운 모양.
❍ 정인[正印] 심인(心印)과 같은 뜻으로, 즉 언어(言語)나 문자(文字)로 형용할 수 없는 불교(佛敎)의 진리(眞理)를 말한다.
❍ 반영[半影] 광원에서 발하는 빛이 물체를 비추었을 때 생기는 그림자 중 빛이 부분적으로 도달하는 부분. 반그림자.
❍ 금경[金鏡] 금으로 장식한 거울. 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반분[半分] 절반(折半)의 분량(分量). 절반(折半)에 나눔.
'한시[漢詩]산책 > 한시 청한[淸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 다시 금강대에 올라 / 靜觀一禪정관일선 (0) | 2020.08.13 |
---|---|
山居산거 / 산에 살다 / 李仁老이인로 (0) | 2020.08.13 |
佛日庵, 贈因雲釋불일암, 증인운석 / 불일암, 인운스님에게 드리다 / 李達이달 (0) | 2020.08.12 |
佛日菴, 贈因雲釋불일암, 증인운석 / 불일암, 인운스님께 드리다 / 李達이달 (0) | 2020.08.12 |
山夕詠井中月二首[其二]산석영정중월 2수2 / 산에서 밤을 보내며 우물 속의 달을 읊다 / 李奎報이규보 (0) | 2020.08.12 |
峽行雜絶협행잡절 / 산골짝을 지나며 / 姜溍강진 (0) | 2020.08.11 |
過寶林寺과보림사 / 보림사를 지나다 / 金炳淵김병연 (0) | 2020.08.08 |
雜興九首[其九]잡흥9수9 / 얽매임을 풀어야 / 崔惟淸최유청 (0) | 2020.08.08 |
放言방언 / 맞고 보냄이 싫어서 / 金時習김시습 (0) | 2020.08.08 |
贈峻上人二十首[其九]증준상인20수9 / 준상인에게 주다 / 金時習김시습 (0)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