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안자춘추[晏子春秋] 후세 사람들이 안영의 이름을 빌려 쓴 책으로 대체적으로 전국 중기 때 성립되어 계속해서 증보를 더했다. 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제자략(諸子略)에는 유가류(儒家流)로 분류되어 있다. 1972년 산동성 임기시(臨沂市) 은작산(銀雀山)의 한묘(漢墓)에서 안자(晏子)의 일부 죽간이 발굴되었는데 그 내용은 대체적으로 기존의 문헌과 일치했다. 책의 내용은 묵가(墨家)들의 사상에 가까운 관점에서 쓰여져 묵자(墨子)의 내용과 비슷하다. 그래서 당조의 유종원(柳宗元)은 안자변(晏子辯)이라는 저서에서 제나라 사람이 묵자의 무리가 되었다.’라고 했다. 송대의 조공무(晁公武)의 군재독서지(郡齋讀書志),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에서도 모두 안자를 묵가(墨家)로 분류했으나 그것은 적절하지 않다. 왜냐하면 안영의 활동연대는 묵자보다 훨씬 앞서기 때문이다. 앞서 거론한 저서들은 모두 안자의 일화나 행적을 제외하고 편찬한 책으로 대부분은 좌전(左傳)의 기록을 참고한 것이고 편찬자들은 원서의 내용과는 다른 내용의 사료를 채용했다. 따라서 안자춘추는 사서라기보다는 창작의 범주에 들어가 정치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문학의 형식을 띤 소설에 가깝다. 중국 역사상 가장 빠른 단편소설집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안작[贋作] 서화(書畵)의 위작을 이른다. 한비자(韓非子)()가 노()를 공격하여 참정(讒鼎)을 요구하니, 노에서 안작을 보내 주었다.” 하였다.

안저무인사해공[眼底無人四海空] 소식(蘇軾)의 시에 아미산(峨眉山) 민산(岷山) 가로 걸친 서쪽 태백산(太白山), 그처럼 눈이 높아 사해에 사람이 없었어라.[西望太白橫峨岷 眼高四海空無人]”라는 표현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37 書丹元子所示李太白眞>

안저무전우[眼底無全牛] 백정이 소를 잡아 분해하는 데 있어 그 기예가 신묘한 경지에 들어가 완전한 소의 모양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영감으로 척척 분해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기예에 대단히 익숙함을 비유한 말이다. <莊子 養生主>

안저전우[眼底全牛]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신이 처음에 소를 바를 당시에는 눈에 보이는 것이 그저 소로만 보이더니 3 년이 지난 뒤에는 온전한 소를 본 적이 없었습니다.”에서 나온 것으로, 기예가 능란하여 여유만만한 사람을 칭찬하는 말이다.

안전창우[眼前瘡疣] 목전의 위급한 상황을 말한다. 당 나라 섭이중(聶夷中)상전가시(傷田家詩)’눈앞에 난 종기가 아물자마자 심장과 머리 살을 도려내누나.[醫得眼前瘡 剜刻心頭肉]”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