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안토낙천[安土樂天] 예기(禮記) 애공문(哀公問)안토(安土)하지 못하면 낙천(樂天)하지 못하고, 낙천하지 못하면 완전한 인격을 이룰 수가 없다.”고 하였는데, () 나라 왕정상(王廷相)은 신언(愼言) 작성편(作聖篇)에서 어디에 있든 편안한 것을 안토라 하고, 어떤 일을 하든 편안한 것을 낙천이라 한다.”고 하였다.

안토중천[安土重遷] 고향을 떠나기를 싫어한다.

안평군[安平君] 전단이 연 나라 군사를 물리친 뒤에 받은 봉호(封號)이다.

안평원[顔平原] 평원은 안진경(顔眞卿)의 봉호(封號)이다.

안풍리[安豐吏] 조세(租稅)를 독촉하는 관리. ()의 동소남(董召南)이 안풍(安豐)에 살았었는데 당시 자사(刺史)가 그의 현행(賢行)을 천자(天子)에게 추천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록(爵祿)은 그에게 오지 않고 날마다 관리가 문 밖에 와서 조세만을 독촉하였다. <小學 外篇 韓文公 董生行>

안하단류구[岸下斷類姤] 구괘(姤卦)는 위 5획은 모두 연하였고 아래 한 획만이 끊겨 있다. 이것은 가파른 언덕의 모양이 마치 구괘처럼 아래가 딱 끊긴 것을 말한 것으로 한유(韓愈)의 남산시(南山詩)앞에 가로 놓인 것은 박괘(剝卦)와 같기도 하고 뒤가 끊긴 것은 구괘와 같기도 하다.[或前橫若剝 或後斷若姤]”라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 사람이 없음. , 교만하여 사람을 업신여김. 눈 앞에 사람이 없는 듯이 말하고 행동한다. 태도가 몹시 거만하여 남을 사람 같이 대하지 않음을 말한다. 안중무인(眼中無人). 방약무인(傍若無人).

안한공[安漢公] 전한(前漢) 시대 왕망(王莽)의 봉호이다. 왕망이 한때 한()을 찬탈하여 자칭 황제가 되었으나, 뒤에 다시 한 나라의 중흥(中興)에 의해 멸망당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