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안자[顔子] 공자(孔子)의 수제자(首弟子)이므로, 현인(賢人)의 대표로 들었다. 수신(修身)을 잘하여 논어(論語) 옹야(雍也)()는 석 달 동안 인()을 어기지 않는다.” 하였다.

안자[晏子] 제경공(齊景公) 때의 현상(賢相)인 안영(晏嬰)을 높여 이른 말이다.

안자누항[顔子陋巷] 공자(孔子)의 제자인 안연(顔淵)은 벼슬하지 않고 시골에 있어 집이 매우 가난했으므로 빈궁한 것을 가리킨다.

안자락[顔子樂] 인욕(人欲)을 초월하여 천리(天理)에 심취한 즐거움. 논어 용야(雍也)한 그릇 밥에 한 표주박 물로 누추하게 살아간다면 남들은 걱정 그칠 날이 없겠지만 회()는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꾸준히 좋아하고 있으니, 참 어질다, 회 그 사람.” 하였다.

안자석이계[晏子惜泥谿] 제 경공(齊景公)이 이계(尼谿)의 땅을 공자(孔子)에게 봉해 주려 하였더니 안자(晏子)가 방해하였다.

안자일표[顔子一瓢] 청빈(淸貧)을 즐기는 현자의 낙을 말한다. 안자(顔子)는 공자의 제자 안회(顔回)로 논어(論語) 옹야(雍也)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 …… 不改其樂이라는 말이 나온다.

안자지어[晏子之御] 안자의 마부. 변변치 못한 지위를 믿고 우쭐대는, 기량이 작은 사람을 일컫는 고사성어이다. 춘추시대 제()나라의 안영(晏嬰)은 영공(靈公), 장공(莊公), 경공(景公) 3대의 군주를 보좌하였던 재상이었다. 하지만 항상 근검절약으로 성실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의 존경과 신망을 받았다. 그의 겸손한 언행은 공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정도여서 안자라는 경칭까지 붙여졌다. 어느 날 안자가 외출을 하게 되어 마차를 타게 되었다. 네 필의 말이 끄는 안자의 마차가 지날 때마다 사람들은 길을 비키거나 엎드려 안자에게 경의를 표했다. 그런데 마부는 마치 자기가 위대해진 듯 착각하여 목을 뻣뻣이 하고는 아주 기세등등한 표정으로 말채찍을 휘두르고 있었다. 마차가 집 앞을 지나간다는 소식을 들은 마부의 아내가 문틈으로 살며시 내다보았다. 재상인 안영은 몸을 앞으로 숙이고 다소곳이 앉아 있는데 남편은 마부 주제에 잘난 척하며 뽐내는 모습이 역겹기 그지없었다. 마부가 집에 돌아왔을 때 아내는 남편에게 말했다. “나는 당신을 떠나겠어요.” 느닷없는 아내의 선언에 마부는 놀라 그 까닭을 물었다. 그러나 아내가 대답했다. “제가 보니 당신의 주인께서는 키가 여섯 자도 못 되는 분이시지만 몸은 제나라의 정승이 되어 이름이 천하에 높습니다. 그런데도 그 분은 항상 스스로 몸을 낮추고 계십니다. 하지만 당신은 키가 팔 척이나 되지만 몸은 남의 말이나 끄는 하인이며 그러면서도 스스로 우쭐하여 거만하기가 이를 데 없습니다. 당신 같은 사람과는 더 이상 살고 싶지 않습니다.” 이에 마부는 아내에게 백배 사죄하고 다시는 거만하게 굴지 않기로 맹세했다. 얼마 뒤에 마부의 태도가 싹 달라진 것을 알게 된 안자가 그 까닭을 물었다. 이에 마부가 자세하게 전말을 고하니 안자는 크게 기뻐하면서 마부를 대부(大夫)로 삼았다. <관안열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