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早春寄王漢陽[조춘기왕한양] 이른 봄에 한양의 왕씨에게

 

- 李白[이백] -

 

聞道春還未相識[문도춘환미상식] 봄이 돌아왔다는데 보지 못하여

走傍寒梅訪消息[주방한매방소식] 한매 곁에 달려가 소식 물었네

昨夜東風入武陽[작야동풍입무양] 지난밤 봄바람 무양에도 불어와

陌頭楊柳黃金色[맥두양류황금색] 길가 버드나무 황금빛을 띠었네

碧水浩浩雲茫茫[벽수호호운망망] 푸른 물 도도하고 구름 아득한데

美人不來空斷腸[미인불래공단장] 그대 오지 않고 괜한 애만 끊어

預拂靑山一片石[예불청산일편석] 미리 청산의 너럭바위 쓸어 놓고

與君連日醉壺觴[여군련일취호상] 그대 오면 더불어 연일 취하려네

 


  • 이백[李白]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자(字)는 태백(太白)이고. 호(號)는 취선옹(醉仙翁)·해상조오객(海上釣鰲客)·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태어날 때 어머니가 꿈에 태백성(太白星)을 보았다고 한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사천성(四川省)인 촉(蜀)의 창명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천보(天寶) 원년(元年: 742년) 가을에 처음 장안(長安)에 나와 하지장(賀知章)을 만나 적선인(謫仙人)으로 찬양되면서, 그 명성이 온 세상에 퍼졌다. 그 뒤 현종(玄宗)을 알현하여 시문의 재능을 인정받아 한림공봉(翰林供奉)으로 임명되고 궁정 시인이 되기도 했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성품이 호방하여 세속에 매이지 않아 천하를 유람하며 시주(詩酒)로 생활하였다. 시풍이 웅기하고 호방하며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의 흐름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음률의 조화와 변화가 다양하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술,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한시(漢詩)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져 이백(李白)은 시선(詩仙), 두보(杜甫)는 시성(詩聖)으로 불린다. 성당(盛唐) 시기 시가(詩歌) 예술의 최고봉에 올랐다. 지금까지 전하는 시가 1천여 편에 달하고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있다.
  • 왕한양[王漢陽] 성(姓)은 왕씨(王氏)이고, 관직(官職)은 한양현령(漢陽縣令)으로 이름과 그 생애는 전하지 않는다.
  • 문도[聞道] 청설(聽說). 듣기에. 듣건대, 듣자니. 듣는 바로는 ~이라 한다. 순종하다. 말을 잘 듣다.
  • 상식[相識] 서로 안면(顔面)이 있음. 서로 알다. 아는 사람. 친구. 지인.
  • 미상식[未相識] 아직 서로 알지 못한다. 봄이 정말 왔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 한매[寒梅] 겨울에 피는 매화(梅花). 추위 속에 피는 매화. 추위를 이기고 피는 꽃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로 소식(蘇軾)의 시 재화잠사(再和潛師)에 “조물이 뭇 고목들 소생시키려 하기 전에, 제일 먼저 찬 매화에 관심을 기울여 주시누나.[化工未議蘇群槁 先向寒梅一傾倒]”라는 표현이 보이고, 장위(張謂)의 시 조매(早梅)에 “가지마다 흰 꽃 피운 매화나무 한 그루, 마을 가까운 시냇가 다리 옆에 서 있네.[一樹寒梅白玉條 逈臨村路傍溪橋]”라고 하였다.
  • 소식[消息] 사람의 안부나 일의 형세 따위를 알리는 말이나 글. 안부(安否) 상황(狀況) 또는 새로이 생기는 사실 등에 관한 기별(奇別)이나 알림.
  • 소식[消息] 고려하다. 참작하다. 육조(六朝) 사람들의 관용어로 짐작(斟酌)과 통한다. 한(漢)・위(魏)・육조(六朝)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소식(消息)은 모두가 짐작(斟酌)의 뜻으로 쓰였다.
  • 소식[消息] 천지의 시운(時運)이 끊임없이 돌고 돌아 자꾸 변화하고 순환하는 일. 사라질 것은 사라지고 생겨날 것은 생겨나게 하는 본래의 이치. 일월(日月)의 내왕(來往). 때의 변천(變遷). 영고(榮枯)와 성쇠(盛衰). 풍신(風信). 소장(消長). 소장(消長).
  • 맥두[陌頭] 길가. 가두(街頭). 길 위. 고대 남자들이 머리를 묶기 위해 쓰던 두건.
  • 무양[武陽] 장강(長江)과 한수(漢水)가 합류하는 지점인 강하(江夏)지역, 무창(武昌)을 가리킨다. 그곳은 바로 무한삼진(武漢三鎭)이 있는 지역이다. 무한삼진은 무창(武昌), 한구(漢口), 한양(漢陽)이다.
  • 호호[浩浩] 호수(湖水)나 강 따위가 가없이 드넓음. 수세(水勢)가 대단하다. 도도(滔滔)하다. 넓고 큰 모양, 물이 엄청나게 많이 흐르는 모양. 길이 길게 이어지는 모양. 마음에 걸리는 게 없이 툭 트인 것. 번쩍이며 빛나는 모양.
  • 망망[茫茫] 넓고 멀어 아득한 모양(模樣). 요원하다. 희미하다. 어둡고 아득함. 아득해 알지 못하는 것. 아득하다. 까마득하다. 망망하다. 아득히 멀고 광활한 모양. 한없이 넓고 아득함. 분명하지 않음. 헤아릴 수 없음. 끝이 보이지 않게 광활한 것을 가리킨다. 왕안석(王安石)의 시 화성각(化城閣)에 “굽어보니 큰 강이 흘러가는데, 끝도 없이 하늘과 맞닿아 있네.[俯視大江奔 茫茫與天平]”라고 하였다.
  • 단장[斷腸] 창자가 끊어진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하게 견딜 수 없는 극심한 슬픔이나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백(李白)의 청평조사(淸平調詞)에 “요염한 모란꽃 이슬에 향 머금었네, 무산선녀 하룻밤 사랑 속절없이 애만 태우네.[一枝濃艶露凝香 雲雨巫山枉斷腸]”라고 하였다.
  • 단장[斷腸] 창자가 끊어질 정도의 큰 슬픔. 세설신어(世設新語) 출면(黜免)에 “진(晉)나라 환온(桓溫)이 촉(蜀)으로 가다가 장강 중류의 삼협(三峽)을 지나게 되었다. 한 병사가 새끼 원숭이 한 마리를 잡아 왔는데, 그 원숭이 어미가 강안(江岸)에서 울며 백여 리를 뒤따라와 배 위에 뛰어오르자마자 혼절하고 말았다. 원숭이의 배를 가르고 보니, 창자가 모두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다. 이 말을 전해들은 환온은 크게 노하여 그 병사를 내쫓아 버렸다.[桓公入蜀, 至三峽中, 部伍中有得猨子者. 其母緣岸哀號, 行百餘里不去, 遂跳上船, 至便絶. 破視其腹中, 腸皆寸寸斷. 公聞之怒, 命黜其人.]”는 이야기가 나온다. 또, 백거이(白居易)의 시 장한가(長恨歌)에 “촉의 강물 푸르고 촉의 산도 푸른데, 천자는 아침저녁으로 양귀비를 그리워하니, 행궁에서 보는 달은 마음을 아프게 하고, 밤비에 울리는 풍경 소리는 창자를 끊네.[蜀江水碧蜀山靑, 聖主朝朝暮暮情. 行宮見月傷心色, 夜雨聞鈴腸斷聲.]”라고 하였다.
  • 호상[壺觴] 술병과 술잔. 술을 담근 용기. 도잠(陶潛)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술병과 술잔 끌어다 홀로 마시고, 뜰 앞의 나무 바라보며 슬며시 웃음 짓네.[引壺觴以自酌 眄庭柯以怡顔]”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