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한[豻] 오랑캐 땅에 사는 들개로 여우와 비슷하지만 몸집이 작다.
❏ 한[漢] 지금의 한중시(漢中市) 일대를 말한다.
❏ 한가[漢歌] 한(漢) 나라 노래.
❏ 한가용비사수활[漢家龍飛泗水闊] 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상정장(上亭長)으로 몸을 일으켰다.
❏ 한각반렴산[閑却半簾山] 문을 닫고 산을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 한간[韓幹] 한간은 당 현종(唐玄宗) 때의 이름난 화가(畫家)로서 특히 인물(人物)과 안마(鞍馬)의 그림에 뛰어났다고 한다. 처음에는 조패(曹霸)를 사사(師事)하였으나 뒤에 스스로 일가(一家)를 이루어 독보적 존재가 되었으며, 옥화총(玉花驄)·조야백(照夜白) 등의 말 그림이 특히 유명하다. <尙友錄>
❏ 한간마도[韓幹馬圖] 한간은 당 나라 남전(藍田) 사람인데 당서(唐書) 명화기(名畫記)에는 대량(大梁) 사람으로 되어 있다. 현종(玄宗)이 큰 말을 좋아하여 어구(御廏)에는 사십만 필이나 되었는데 그 중 준마(駿馬)를 한간이 모두 그렸는데 고금의 독보가 되었다. 소식의 한간마십사필시(韓幹馬十四匹詩)가 있다.
❏ 한강백[韓康伯] 진(晉)의 한백(韓伯). 강백(康伯)은 그의 자임. 그는 집이 몹시 가난하였는데, 추운 겨울에 자기 어머니가 저고리를 만들어주면서 빨리 다림질을 하라고 하고, 계속하여 바지를 만들려고 하자, 강백은 자기 어머니에게 그만둘 것을 요청하였다. 그 어머니가 까닭을 물으니 강백이 대답하기를 “이 다리미 속에 불이 있으니까 다리미자루까지 따뜻합니다. 마찬가지로 지금 위에다 따뜻한 저고리를 입었으니 그 따뜻함이 점차 아래까지 내려올 것 아니겠습니까.”라고 하여 그 어머니는 강백을 특이하게 여겼다고 한다. <晉書 韓伯傳>
❏ 한강투석[漢江投石] 한강에 돌 던지기. 지나치게 미미(微微)하여 전혀 효과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 한개광명원[漢改廣明園] 한 선제(漢宣帝)가 생부(生父)인 사황손(史皇孫)의 무덤을 개장(改葬)한 것을 말한다. 무덤의 이름은 원래 도원(悼園)인데 광명(廣明)의 성곽 북쪽에 위치하였으므로 광명원이라고 가칭한 것이다. <漢書 卷63>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당인[漢黨人], 한대[漢臺], 한랑설리파[韓郞雪裏葩], 한로[韓盧], 한롱적[韓隴笛], 한름진진속[漢廩陳陳粟] (0) | 2024.04.29 |
---|---|
한단갱[邯鄲坑], 한단지몽[邯鄲之夢], 한단지보[邯鄲之步], 한단침[邯鄲枕], 한단행[邯鄲行] (1) | 2024.04.26 |
한궁비[漢宮妃], 한난기포[寒暖飢飽], 한난염량[寒暖炎凉], 한다폭소[寒多曝少], 한단가청구[邯鄲駕靑軥] (1) | 2024.04.25 |
한공오궁[韓公五窮], 한관[漢關], 한관[扞關], 한관위의[漢官威儀], 한교악지위린[韓蛟鱷之爲隣] (0) | 2024.04.18 |
한거부[閒居賦], 한걸[寒乞], 한계승추[韓洎繩樞], 한고[漢錮], 한고연패[漢皐捐佩], 한곡편양휘[寒谷徧陽暉] (0) | 2024.04.17 |
학창의[鶴氅衣], 학철부어[涸轍鮒魚], 학포번[學圃樊], 학학[嗀嗀], 학해[學海], 학화웅담[學和熊膽] (0) | 2024.04.15 |
학저[鶴邸], 학적천[鶴吊阡], 학전주[鶴錢州], 학정[鶴頂], 학제[學製], 학주[鶴柱], 학주이[壑舟移] (0) | 2024.04.12 |
학원유약[鶴猿有約], 학익진[鶴翼陣], 학일구[貉一丘], 학자탁련[鶴觜拆蓮], 학장부단[鶴長鳧短], 학장주[壑藏舟] (0) | 2024.04.11 |
학서[鶴書], 학수경[鶴殊脛], 학습수비[學習數飛], 학야[鶴野], 학여불급[學如不及], 학여전[鶴與錢] (0) | 2024.04.11 |
학무[鶴舞], 학부[學蔀], 학부[涸鮒], 학사[壑蛇], 학사연[學士宴], 학사제염[學舍虀鹽], 학상선[鶴上仙] (1)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