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귀중한 것으로 하찮은 것을 얻으려 하지 마라
- 장자(잡편):제28편 양왕[5]-
노나라 임금이 안합은 도를 터득한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 사람을 시켜 폐물을 들고 가서 모셔오게 했다. 안합은 누추한 집에 살면서, 삼베옷을 입고 소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다가 노나라 임금의 사신이 찾아오자 그를 맞이했다.
사신이 말했다.
“여기가 안합의 집입니까?”
안합이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사신들이 폐물을 바치자 안합이 말했다.
“아마 잘못 듣고 사신을 보내어 죄가 될지도 모르니 다시 한번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신들이 돌아가 확인을 한 다음 다시 와서 그를 찾으니 이미 그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안합 같은 인물이야말로 정말로 부귀를 싫어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진실한 도로써 자기 몸을 다스리고, 그 나머지로써 나라를 돌보고, 그 찌꺼기로서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다」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제왕들의 공로란 성인들의 여분의 일인 것이며, 그런 일은 자신을 완전히 간수하고 삶을 보양하는 방법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지금 세속의 군자들은 대부분이 자신을 위험에 빠뜨리고 삶을 버리면서까지 사물을 추구하고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않은가? 모든 성인의 행동이란 반드시 그것을 하는 까닭과 그것을 하는 방법을 반드시 먼저 살피는 것이다. 지금 여기에 어느 사람이 수후의 구슬로써 천길 높이의 참새를 쏘았다면 제상 사람들은 반드시 그를 비웃을 것이다. 그것은 그가 사용한 것이 귀한 것임에 반하여 그것으로 얻은 것은 가벼운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삶이 어찌 수후의 구슬의 귀중함에 비교되겠는가?
- 莊子(雜篇):第28篇 讓王[5]-
魯君聞顔闔得道之人也, 使人以幣先焉. 顔闔守陋閭, 苴布之衣而自飯牛. 魯君之使者至, 顔闔自對之. 使者曰:「此顔闔之家與?」 顔闔對曰:「此闔之家也.」 使者致幣, 顔闔對曰:「恐聽謬而遺使者罪, 不若審之.」 使者還, 反審之, 復來求之, 則不得已. 故若顔闔者, 眞惡富貴也.
故曰, 道之眞以治身, 其緖餘以爲國家, 其土苴以治天下. 由此觀之, 帝王之功, 聖人之餘事也, 非所以完身養生也. 今世俗之君子, 多危身棄生以殉物, 豈不悲哉!
凡聖人之動作也, 必察其所以之與其所以爲. 今且有人於此, 以隨侯之珠彈千仞之雀, 世必笑之. 是何也? 則其所用者重而所要者輕也. 夫生者, 豈特隨侯珠之重哉!
'옛글[古典]산책 >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족하는 사람은 이익 때문에 스스로를 해치지 않는다/장자/양왕/ (0) | 2020.07.08 |
---|---|
자기를 기르는 사람은 이익을 잊는다/장자/양왕/ (0) | 2020.07.08 |
자기 분수에 따라 도를 추구할 줄 알아야 한다/장자/양왕/ (0) | 2020.07.08 |
분수에 맞게 편하게 지낼 줄 알아야 한다/장자/양왕/ (0) | 2020.07.08 |
남의 말에 의한 판단은 옳지 못하다/장자/양왕/ (0) | 2020.07.07 |
근심을 만들어 삶을 손상시키지 마라/장자/양왕/ (0) | 2020.07.06 |
삶은 번거롭게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장자/양왕/ (0) | 2020.07.06 |
백성을 위해 백성을 해치지 마라/장자/양왕/ (0) | 2020.07.06 |
외물에 끌려 자기 삶을 어지럽히지 마라/장자/양왕/ (0) | 2020.07.03 |
뽐내는 마음을 버려야 올바른 도를 배울 수 있다/장자/우언/ (0) | 2020.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