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시대와 환경에 자연스럽게 따를 줄 알아야 한다

 

- 장자(외편)17편 추수6-

 

옛날에 요와 순은 천자의 자리를 물려받아 제업을 이루었고, 연나라 임금 증은 재상의 아들 지에게 임금자리를 물려주었으나 나라가 멸망하고 말았다.

은나라 탕왕이나 주나라 무왕은 다툼을 통하여 왕이 되었으나, 초나라 백공은 다툼을 통하여 멸망했다.

이처럼 다투고 사양하는 예절이나, 요임금과 걸왕 같은 행동이 때에 따라 귀하게도 되고 천하게도 되는 것이어서 일정한 표준에 의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들보나 기둥같이 큰 재목은 성벽을 무너뜨리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작은 구멍을 막는 데는 소용이 없다. 그것은 기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리를 달릴 수 있지만 쥐를 잡는 데는 삵괭이만 못하다. 그것은 재주가 다르기 때문이다. 올빼미는 밤에도 벼룩을 잡고 터럭 끝도 볼 수 있지만 낮에 나와서는 눈을 뜨고도 큰산도 보지 못한다. 그것은 본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데 어찌 옳다는 것을 존중하고 그르다는 것은 무시하며, 다스림은 존중하고 혼란은 무시하는가? 그것은 하늘과 땅의 이치와 만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하늘은 존중하면서 땅은 무시하고, 음은 존중하면서 양은 무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니, 그것이 통용될 수 없는 것임은 분명한 일이다.

그런데도 그런 주장을 버리지 않고 내세우는 자들은 어리석은 자가 아니면 거짓말쟁이인 것이다.

옛날 제왕들을 보면 물려주는 방법이 서로 달랐고, ··3대의 왕위 계승 방법도 각기 달랐다. 그 시대와 어긋나게 하고, 그 때의 세속을 거스르는 자를 두고 찬탈자라 부르며, 그 시대에 합당하게 하고 그 때의 세속을 따르는 사람을 두고 의로운 사람이라 부르는 것이다.

 

- 莊子(外篇)17篇 秋水6-

昔者堯舜讓而帝, 噲讓而絶. 湯武爭而王, 白工爭而滅. 由此觀之, 爭讓之禮, 堯桀之行, 貴賤有時, 未可以爲常也. 梁麗可以衝城, 而不可以窒穴, 言殊器也. 騏驥驊騮, 一日而馳千里, 捕鼠不如狸狌, 言殊技也. 鴟鵂夜撮蚤, 察毫末, 晝出瞋目而不見丘山, 言殊性也. 故曰, 蓋師是而無非, 師治而無亂乎? 是未明天地之理 萬物之情者也. 是猶師天而無地, 師陰而無陽, 其不可行明矣. 然且語而不舍, 非愚則誣也. 帝王殊禪, 三代殊繼. 差其時, 逆其俗者, 謂之簒夫. 當其時, 順其俗者, 謂之義之徒. 黙黙乎河伯! 女惡知貴賤之門, 小大之家!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