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속된 학문과 지혜로는 본성을 기를 수 없다
- 장자(외편):제16편 선성[1]-
통속적인 학문으로 본성을 닦아 그 원초적인 상태로 돌아가기를 바라고, 통속적인 생각으로 욕망을 다스려 그의 밝은 지혜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몽매한 백성이라 한다.
옛날의 도를 다스리던 사람들은 욕심을 끊고 깨끗하고 편안하게 있음으로써 지혜를 길렀다. 나면서부터 지혜로써 행동하는 일이 없었으니, 그를 두고서 지혜로써 욕심이 없이 깨끗하고 담담함을 기르는 것이라 말한다. 지혜와 욕심이 없이 깨끗하고 담담함이 서로를 길러줌으로써 조화와 이치가 그의 본성에 생겨나는 것이다.
덕이란 조화를 이루는 것이며, 도란 이치에 맞는 것이다. 덕이 모든 것을 용납하는 것이 어짊이다. 도가 모두 이치에 들어맞는 것이 의로움이다. 의로움이 밝음으로써 사물과 친근하게 되는 것이 충실함이다. 속마음이 순수하고 충실하여 그 성정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음악이다. 자기 몸이 행하는 대로 맡기어 두고도 절도에 알맞게 따르게 되는 것이 예의이다.
그런데 예의와 음악이 한곳에 치우쳐 행하여지면 곧 천하가 혼란에 빠지는 것이다. 남을 바로잡아주려 하면서도 자기의 덕을 어둡게 만드는데, 덕이란 물건을 가리지 않는 것이다. 가리게 되면 물건은 반드시 그의 본성을 잃게 된다.
- 莊子(外篇):第16篇 繕性[1]-
繕性於俗, 俗學以求復其初. 滑欲於俗思, 以求致其明. 謂之蔽蒙之民.
古之治道者, 以恬養知. 知生而無以知爲也, 謂之以知養恬. 知與恬交相養, 而和理出其性. (夫德, 和也. 道, 理也. 德無不容, 仁也. 道無不理, 義也. 義明而物親, 忠也. 中純實而反乎情, 樂也. 信行容體而順乎文, 禮也. 禮樂偏行, 則天下亂矣.) 彼正而蒙己德, 德則不冒, 冒則物必失其性也.
'옛글[古典]산책 >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에서 나온 분별과 평가는 무의미한 것이다/장자/추수/ (0) | 2020.05.22 |
---|---|
눈앞의 대상에만 집착하는 것은 잘못이다/장자/추수/ (0) | 2020.05.22 |
본성을 버리고 인위적인 것만 추구하여 혼란에 빠진다/장자/선성/ (0) | 2020.05.22 |
세상을 떠나 몸을 보존하며 때를 기다린다/장자/선성/ (0) | 2020.05.21 |
인위적인 지혜로 세상은 혼란에 빠졌다/장자/선성/ (0) | 2020.05.21 |
정신이 순수하고 소박한 사람/장자/각의/ (0) | 2020.05.21 |
몸과 정신을 보양하는 방법/장자/각의/ (0) | 2020.05.20 |
성인의 덕이란 어떤 것인가/장자/각의/ (0) | 2020.05.20 |
편안하고 간단하고 담담히 살면 근심 걱정이 없다/장자/각의/ (0) | 2020.05.20 |
발자국은 발이 아니다/장자/천운/ (0) | 202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