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거안제미[擧案齊眉]밥상을 눈 위로 받들어 올리다
밥상을 눈 위로 받들어 올린다. 즉 아내가 남편을 지극히 공경하여 받들어 올림을 일컫는 말이다.
부풍군 평릉현에 비록 집은 가난하지만 절개가 곧은 자(字)는 백란(伯鸞)으로 양홍(梁鴻)이란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같은 현의 맹가(孟家)에 몸이 뚱뚱하고 얼굴도 못난 맹광(孟光)이라는 딸이 있었다. 나이가 서른이 넘어 혼기가 훨씬 지났는데도 좀처럼 시집을 가려고 하지 않자 부모는 근심이 되어 그 연유를 묻자,
“양백란(梁伯鸞)같은 훌륭한 분이라면 기꺼이 시집을 가겠습니다.”
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양홍은 이 처녀에게 청혼을 하여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7일이 지나도 양홍은 색시와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는 것이었다. 어느날 색시가 하도 궁금하여 자신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들지 않는지 그 연유를 캐묻자 양홍은 이렇게 대답했다.
“내가 바랬던 여자는 비단옷을 입고 분을 바르는 그런 여자가 아니라 함께 누더기 옷을 입고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살 수 있는 그런 여자였소!”
이 말을 듣자 양홍의 색시는 말했다.
“이제야 당신의 마음을 알았습니다. 저는 당신의 마음을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누더기 옷을 입고 당신의 뜻을 따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양홍은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그녀에게 덕요(德曜)라는 별명을 지어주고 둘이서 산속으로 들어가 농사를 짓고 베를 짜면서 생활했다.
그러나 왕실을 비방하는 양홍이 지은 시로 인해 장제(章帝)에게 쫓기게 되자 오(吳)나라로 건너가 고백통(皐伯通)이란 명문가의 방앗간에서 날품팔이를 하며 지냈다. 그러나 양홍이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그의 아내는 밥상을 차리고 기다렸다가 눈을 아래로 깔고 밥상을 눈썹 위로 들어 올려(擧案齊眉) 남편에게 공손히 바쳤다고 한다.
후한서(後漢書) 일민전(逸民傳)에 나오는 고사이다.
하늘구경
'옛글[古典]산책 > 고사성어[古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침안면[高枕安眠]베개를 높이 하여 편히 잘 잔다 (0) | 2019.12.18 |
---|---|
고육지계[苦肉之計]제 몸에 고통을 가하여 상황을 반전시킨다 (0) | 2019.12.18 |
견토지쟁[犬兎之爭]쫓고 쫓기다 둘 다 지치면 (0) | 2019.12.18 |
격물치지[格物致知]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 들어가면 (0) | 2019.12.18 |
검려지기[黔驢之技]보잘것없는 기량을 들켜 화를 자초한다 (0) | 2019.12.18 |
거자일소[去者日疎]떠난 사람은 나날이 멀어진다 (0) | 2019.12.18 |
개과천선[改過遷善]지난날의 잘못을 고쳐 착한 사람이 되다 (0) | 2013.10.13 |
갈택이어[竭澤而漁]연못의 물을 모두 퍼내 고기를 잡고나면 (0) | 2013.10.13 |
각주구검[刻舟求劍]변화와 흐름을 모르고 보이는 것만 믿어서는 (0) | 2013.10.13 |
고사성어古事成語 모음 (0) | 2013.08.11 |